기후 변화로 인해서 우리나라도 이제 작물 재배를 전략적으로 재배치할 시기가 온 건 아닌가요
이제 우리나라 기후도 상당히 예전과 많이 변해 가는 듯합니다
이에 맞춰서 조금 더 전략적인 차원에서 작물 재배를 다른 품종이나 기후에 맞는 방법과 그리고 대비 대세로 들어가야 되는 시기가 아닌가요
어떤 형태로 꾸리고 나아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후 변화와 우리나라 작물 재배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저는 최근 가장 대표적으로 우리 나라에서 사라질 수 있는 과일이 사과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최근 사과 값이 상당히 비싸서 잘 사먹지도 못하기에
이를 대체할 작물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해주신것처럼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가 기후변화로 농수산물, 해산물 등의 생태가 바뀌고 있기에 그에 발맞춰 품종 개량 또는 품종 변화를 해나가야 합니다. 특히, 자주 섭취하는 농수산물의 가격 급등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선 중장기적인 관점에선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온에 강한 신품종을 개발, 확대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 재배 지역에 온도 상승으로 재배지가 축소되고 있으며 징중호우 등 이상기후 현상으로 농가 피해가 커져 공급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재배지의 재배 범위를 넓히고 전통적인 재배지를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해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하거나 대체 작물 재배를 고려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해 대체작목을 예측 연구하는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맞춤형 재배 기술이 보급될 수 있게 지자체의 노력도 필요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평균기온이 올라가면서 작물에 대한 재비 지역의 재배치는 필요합니다. 옛날에는 사과를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서 많이 재배했다면 현재는 충주나 위쪽 지방에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맞게 농작물을 재배치 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폭염, 가뭄, 홍수, 이상 저온 등 극단적인 기산상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합니다. 벼의 경우 고온에서도 잘 자라고 병해충에 강한 품종, 과수의 경우 냉해나 폭염에 잘 견디는 품종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농촌진흥청 등에서 벼 친들, 해강 등 고온다습 환경에 강한 품종이나 호박고구마 호풍미처럼 병해 저항성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과거에는 재배가 어려웠던 아열대/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고부가가치 작물로 전환하고,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재배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제주도 등 남부 지방에서는 이미 아열대 작물 연구가 활발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농업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주요 작물의 재배지가 북상하거나 축소되고 아열대 작물 재배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생산과 품질, 가격이 불안해지고 있어, 과학적 분석을 바타응로 작물 재배의 전략적 재배치와 품종 전환, 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