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눈을 보기가 점점더 힘들어지는 이유가 몰까요?
해가 거듭될수록 눈을 보기가 점점더 힘들어 지네요. 물론 폭설이 내려 피해보는게 줄어서 좋을수도 있지만 아쉬운감이 있네요. 지구온난화와도 연관이 있을까요?
-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여름이 길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여름이 길어지니 봄과 가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있습니다. - 또한 마찬가지로 겨울도 짧아지므로 눈을 보기가 더 힘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 지구온난화가 기상이변을 가져오기는 합니다만 눈이 안오게도 많이 오게도 합니다. 따라서 어떤 지역에는 폭설을 어떤지역에는 가뭄을 주는것이죠. 
-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의 겨울 평균기온이 점점 올라가고 있다고 한다. 기상청이 공개한 1973~2020년 1월 기상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전국 1월 평균 기온은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겨울이 점점 따뜻해지는 것은 지구 온난화 영향이며, 이에 따라 눈을 보는 것이 힘들어졌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가 따뜻해져서 겨울에 눈이 아닌 비가 내리는 등 여러 자연재해들이 일어납니다. - 탄소배출로 인한 현상이라는 가설이 우세하긴하지만 100%는 아니라는 가설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요즘 겨울은 기후온난화현상으로 엘리뇨현상이 아닌 특유한 라니냐영향까지...겹쳤고, 지금은 시베리아성 고기압이 급격히 내려와 태평양 연안의 따스한 공기와 만나면서 예년처럼 강추위는 덜한 것 같습니다...결국 기후변화를 겪고 있다고 보면 맞습니다. - 추워도 2-3일정도에 불과하니....그리고 통상 1월 소한[1/06일]과 대한[1/20일]을 지나면 겨울추위는 끝났다고 보면 맞을 정도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 온난화의 영향이 아닌가 합니다. 점점 평균기온이 올라가니 눈이 들오고 대신 비가 오는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