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신생대시기에 인류는 어떤 과정으로 초기 탄생한건가요

신생대시기에 인류가 탄생하는 시기가 있을텐데요 초기에 어떤 과정으로 탄생하는것인지 궁금하며 이들이 어떤과정으로 지구 생태계에서 적응하고 확장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신생대 후반 플라이오세에 아프리카의 기후가 건조해져 숲이 사바나로 바뀌면서 나무 위에 살던 유인원이 두 발로 걷는 호미닌으로 진화했습니다. 이후 두뇌 발달과 도구 사용, 사회적 협력과 언어 능력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지구 전역으로 확장해 현재의 인류로 진화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말씀하신대로 신생대는 공룡 멸종 이후 포유류가 번성하고 인류가 출현하여 진화한 시기입니다.

    인류의 탄생은 신생대 4기인 약 540만 년 전, 영장류가 유인원과 원시인류로 갈라지면서 시작되었다고 보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인류의 조상은 약 700만년 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으로, 뇌 용량은 340~360cc 정도로 작았습니다. 이 시기에 영장류의 일부가 직립 보행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널리 알려진 약 390만~290만 년 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아프리카에서 번성했던 원시 인류입니다. 유명한 '루시' 화석이 이 종에 속합니다. 이들은 직립 보행을 했지만, 뇌 크기는 평균 400cc로 침팬지나 고릴라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약 220만 년 전의 '호모 하빌리스'는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인류 계통 중 최초로 뇌 용량이 뚜렷이 증가한 종입니다. 발견된 유해 근처에서 석기가 다수 발견되어 도구를 최초로 제작한 원시 인류로 여겨집니다.

    그리고 약 200만년 전의 '호모 에렉투스'는 아프리카를 떠나 전 세계로 퍼져나간 최초의 인류입니다. 뇌 용량은 850~1100cc로 증가했으며, 불을 사용하고 사냥을 위해 원시적인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더 복잡하고 독창적인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초기 인류는 직립 보행을 하며 도구를 제작하고 사용하고 이로 인한 뇌용량의 증가와 인지 능력의 발달과정을 거쳐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다양한 환경으로 적응하며 퍼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호모 에렉투스부터 시작된 아프리카 외부로의 이주는 인류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 신생대 시기 인류의 초기 탄생은 약 540만 년 전 영장류가 유인원과 원시인류로 나뉘면서 시작되었으며, 가장 큰 특징은 원시인류가 두 발로 직립보행을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이 직립보행은 앞발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도구를 만들고 운반하게 했고, 이는 뇌 발달과 지능 향상, 언어 사용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초기 인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등으로 진화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확장했습니다. 호모 에렉투스는 아프리카를 벗어나 전 세계로 퍼져나간 최초의 인류로, 도구 사용과 불의 통제 능력을 발전시켰습니다. 이러한 적응과 확장은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는 신생대 제4기의 급격한 기후 변화 속에서 더욱 두드러졌으며, 인류는 다양한 서식지에 맞는 새로운 식량 채집 방식과 사냥 기술을 개발하고, 복잡한 사회 구조와 언어를 발달시키며 지구 생태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