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통증이 생겼다면 통증이 생긴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
무리한 운동이나 움직임으로 인한 근육과 인대의 손상인지 자세에 의한 문제인지를 확인해 보시고
무리한 운동에의해 통증이 유발되었다면 충분히 휴식을 취하시고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주세요
앉아있거나 자세의 문제로 인한 통증은 자세를 교정하셔야 통증이 완화될수 있습니다.
이렇게 했는데도 어깨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정황상, 근근막 통증 증후군이 의심됩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근육의 외상이나 과다한 사용,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근육 또는 근막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에 통증 유발점이 발생하여 해당 근육의 통증과 이에 동반한 연관통, 운동 제한 등의 여러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흔히 ‘담에 걸렸다’라고 말하는 질환으로, 누구나 한 번쯤 걸리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2.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근육의 외상이나 과도한 사용,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자세 이상, 외상, 여러 근골격계 질환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근육의 과도한 사용,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과 이완, 외상 등으로 인해 신경근 접합부에서 아세텔콜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근 수축이나 주변 혈관의 압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근육에 대한 영양과 산소 공급에 장애가 유발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근육통이 있습니다.
1) 근육통은 자발통, 압통, 연관통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통증은 둔하고 쑤시며, 깊고 넓게 분산된 영역으로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운동 범위에 제한이 생깁니다.
2) 통증 유발점이란 약화된 근육이나 위축이 없지만 누르면 아픈 부위를 의미합니다.
통증 유발점인 근육은 밴드처럼 딱딱합니다. 이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며, 그 주변 부위에도 통증이나 저린 느낌 등이 느껴집니다.
통증 유발점이 목 주위 근육이라면, 두통, 눈 주위의 통증, 귀울림(이명),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 유발점이 어깨 근육이라면, 팔이나 손에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듭니다.
통증 유발점이 허리나 엉덩이라면 엉덩이와 다리가 저립니다.
4. 진단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객관적으로 진단할 검사나 영상 의학 검사가 없으며, 신경학적 이상도 확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소적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 유발점을 압박할 때 압통이나 연관통이 발생하지만,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 임상적으로 근근막 통증 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5. 치료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진정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할 뿐이며,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아닙니다.
② 스트레칭
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의 경직을 완화하거나 풀어주는 방법입니다.
③ 마사지
눌렀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한 부위를 엄지손가락으로 지그시 10여 초간 눌렀다가 떼는 행동을 반복합니다.
④ 물리 치료
가장 전통적인 치료법입니다. 온도 차를 이용한 팩, 온열 램프, 한랭 치료 등이 있습니다. 또한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 저에너지 레이저 치료, 전기 치료 등이 있습니다.
⑤ 통증 유발점 주사 요법
근육 속에 존재하는 단단한 통증 유발점을 찾아 주삿바늘을 이용하여 정확히 파괴하면 근육의 경직이 풀리면서 통증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 치료 방법입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진통제, 스트레칭, 동통점 차단술 주사, 물리 치료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그러나 자세가 계속 나쁘거나 평소에 운동을 게을리하면 치료 효과가 떨어집니다.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스트레칭이 치료와 예방에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6. 경과
근근막 통증 증후군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주위 근육으로 통증 유발점이 퍼져서 통증 범위가 넓어지고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다음과 같은 이상 반응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 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2.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3. 접종 후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발생,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4.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5.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방문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어깨 통증의 원인은 다양한 질환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오십견, 회전근개파열, 석회화 힘줄염, 충돌증후군, 점액낭염 등이 있습니다.
각 질환들이 서로서로 겹쳐서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흔합니다. 반드시 정형외과 방문하셔서 정밀검사 및 신체진찰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어깨의 관절범위를 유지시켜주는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주시고, 이후 시계추 운동으로 좀 더 스트레칭 범위를 늘려주면 좋습니다.
이후 가벼운 근력운동을 병행해주시면 어깨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접종 후 무기력 및 통증을 호소하는 분중에 의외로 어깨 겨드랑이 목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인해 주변 임파선이 부어 통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면역반응으로 인해 커진 임파선은 2-3주에 걸쳐 서서히 정상화되므로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진 않습니다. 국소적인 팔통증에는 얼음찜질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