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에서 베블렌 효과가 무슨 말이고 어떤 경우에 사용되는지요?
얼마전 경제기사중에 휴대폰관련해서 보니 실제 판매 현장에서는 현재 수요를 공급이 감당 못해 대기자들이 줄을 서면서 불만이 터져나올 지경이며 베블렌 효과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는 말이 있던데요. 경제에서 베블렌 효과가 무슨말이고 어떤 경우에 사용되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 예를 들어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꼭 필요해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지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아서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렌 효과는 소비자들이 남들보다 돋보이고 싶은 욕구에서 명품을 선호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외제 자동차나 보석과 같은 비싼 상품을 구입하여 자신의 과시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동이 베블렌 효과의 일종입니다. 이 용어는 미국의 경제학자 쏘스타인 베블렌이 부유층의 과소비를 비판한 저서에서 유래했습니다. 부유한 사람들은 남에게 과시하기 위해 가격이 높은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효과는 일종의 과시욕이나 허영심으로 인해서 특정제품의 가격이 인상되더라도 수요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는 것을 말하는데 비슷한 단어로는 속물효과나 백로효과라고 부르기도 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효과는 과시 소비를 의미하는 경제학 용어입니다.
일반적인 경제학 잣대를 들이대면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수요가 줄어들기 마련인데
베블런 효과로 과시 소비를 하는 소비자는 오히려 가격이 오를 수록 수요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처럼 경제학 수요공급법칙을 무시하는 새로운 형태의 소비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렌 효과와 같은 경우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뜻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 효과는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고가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끊이질 않는 과시형 소비 행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가격이 높다는 것이 그만큼 가치가 있다는 것으로 인식되어,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들기 마련인 일반적인 경제 원칙과는 반대의 현상을 보입니다.
베블런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명품 제품: 경제 불황이 계속되는 와중에도 명품백이나 고급차의 수요는 줄지 않는 것도 베블런 효과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2. 빈센트 앤 코 시계: 빈센트 앤 코는 국내에서 제조된 원가 10만원 정도의 시계를 억대의 가격에 판매하며 단기간에 큰 홍보효과를 누렸던 사례입니다.
3. 명절 선물세트: 명절 때마다 베블런 효과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명절 선물세트로 등장하는 굴비/전복/젓갈 등의 상품이 기존 가격보다 수십배가 뛰어도 그 수요는 오히려 증가한다고 합니다.
4. 파시미나: 파시미나는 페르시아어로 '캐시미어'를 의미하는 '패쉬미나'에서 파생된 단어로 그 본질은 캐시미어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캐시미어보다 가치가 높다는 이미지메이킹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파시미나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베블런 효과는 남들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허영심에서 시작된 소비패턴의 한 종류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¹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렌 효과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높아질수록 그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베블렌 효과는 19세기 미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베블렌이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베블렌은 베블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과시적 소비'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과시적 소비는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값비싼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명품 예술품 고급자동차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렌 효과란 물건 가격이 오르는 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수요가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명품 소비이며, 명품을 소비함으로써 재력 등을 과시하기 위하는 현상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베블런 효과란 다음과 같은 뜻입니다.
바로, 물건 가격이 오르는 데도 불구하고 되려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입니다.
즉, 소비자들이 남들보다 돋보이고 싶은 심리에서 이런 수요의 요인을 찾아볼 수 있고
특히 명품 소비에서 잘 들어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렌 효과는 경제에서 소비자들이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구매를 서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미래에 물가가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그로 인해 가격이 더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미리 구매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가격 상승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