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단기유동성 시장에 문제가 있나요?
코인 관련 방송을 보는데 요즘 미국 단기 유동성 시장에 문제가 있어서 유동성이 부족해 코인이 떨어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더군요.
근데 미국이 금리도 인하하는 기조고 qt도 종료한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왜 단기 유동성 시장에 문제가 있다는 말이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 인하와 QT 종료를 예고해도 단기 유동성 시장에서는 지급준비금 감소, 레포 금리 급등, 재무부 단기채 발행 증가 등으로 인해 단기 자금 흐름에 병목 현상이 발생해 유동성 문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통화량과 별개로 자금이 시장에 원활히 돌지 않아 투자자들이 체감하는 유동성 부족과 변동성 확대를 초래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빅테크 기업이 조단위에 채권을 발행하면서 단기 유동성을 빨아들이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현금이 귀해졌고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투자되어 있었던 자산을 매도하고 있습니다
이 매도는 연쇄적으로 더 큰 하락을 이끌어 오고 있기 때문에 미국 증시부터 코인 시장까지 하락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은행들이 예전만큼 여유있게 자금을 빌리거나 빌려주지 않는 패턴이 관측되었습니다 미 재무부의 단기국채 발행이 급증하면서 금융시스템 내의 여유자금이 빠져나갔다고 판단하고있습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단기 자금 비용상승을 초래하며
은행등 금융기관의 이자비용이 올라가고
그럼 금융기관의 대출을 축소하거나 담보요구를 강화할 가능성으로까지 영향이 갑니다
즉 미국내 단기채 발행으로 인한 단기 유동성 감소로 보시면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재무부에서 단기 국채 발행이 2600억 달러 이상 발행되면서 시장의 자금을 다 잡아먹어 단기 유동성이 급감합니다.
이때문에 일시적으로 단기 유동성 시장에 둔화가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단기 유동성 시장에서는 재무부의 단기 국채 발행 급증으로 인해 단기 자금조달 비용(SOFR)이 급등하며 자금 경색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는 시장의 단기물 쏠림과 유동성 불안을 야기했고, 연준(Fed)이 상시 레포제도를 본격적으로 가동하며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여 상황을 진정시키려고 노력 중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 기조와 별개로 단기채권 수요 급증, 은행 유동성 축소가 겹치면 단기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레포시장, MMF 자금 이동으로 특정 시기에 유동성이 묶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영향이 크립토 투자자금 유입 감소로 해석되어 코인 가격 약세 논리로 언급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내에서 초단기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우선 미국내에서 금융기관들이 공격적으로 대출을 해주고 있으며 이에 초단기 자금을 빌려서 다시금 상대적으로 고금리의 대출이나 고금리의 채권투자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작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준이 양적긴축을 진행하면서 매월 양적 완화가 아니라 매입규모가 급격히 줄어들다보니 단기자금 시장이 좋지 않은거것입니다.
이에 실제로 미국내의 초단기물 금리가 현재의 시장금리 인하추세와 다르게 급격히 오르면서 오히려 반대의 상황으로 올라가면서 단기자금내에서 유동성이 부족하고 이로 인해서 현재 미국내로의 달러자금이 유입되고 위험자산내에서 수급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동성 자체는 충분합니다. 다만,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서 투자를 주저하는 자금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또한, 1년 내내 금, 코인 및 주식 가격이 동반 상승한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져서 이익 실현 욕구도 커진 점도 실질적인 유동성 감소로 간주해도 될 것 같습니다. 시현한 이익을 재투자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단기유동성 시장에 문제가 생기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미국에서 단기 유동성 시장에 문제가 생긴 것은
바로 미국의 재무부가 채권 발행의 비율을 단기 20퍼센트였던 것에서
단기 55퍼센트로 바꿨기에 여기서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분위기가 아닙니다. 오히려 동결 및 인상까지고 고려중이기 때문에 단기 유동성 문제가 붉어지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