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23.06.25

화장실이 집 안에 생긴 것은 역사적으로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과거에 우리나라에서는 화장실이 모두 밖에 있는 구조의

주택으로 알고 있습니다

언제부터 화장실이 집 안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것이 배설물을 받아들일 때의 동양과 서양의 가장 큰 관점 차이다―을 잘 알고 있던 고대 스코틀랜드인 들은 자연적으로 흐르는 물이 있는 근처에서 자리를 잡고 용무를 해결했다. 하지만, 배설물을 집에서부터 씻어 내버릴 수 있는 수세식 배관 시스템을 처음으로 고안해낸 사람들은 스코틀랜드 연안 오크니 섬 주민들이었다.

    물론 오늘날의 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조잡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하수구가 돌집에서 개천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람들은 더는 추위에 떨며 밖에서 용무를 보지 않아도 되었다.

    정교하기로 치자면 크레타 섬의 코넷소스 궁전에 살았던 미노아 왕족의 화장실을 빼놓을 수 없다.

    이미 기원전 3000년에 미노아 왕족들은 시멘트로 틈새를 이은 수직 석 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물을 채우고 빼낼 수 있는 욕조를 사용했다.

    점차로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은 오늘날의 것과 같이 유약을 바름 토기 파이프로 바뀌었다.

    이 화장실에서는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을 편리한 대로 사용할 수 있었으며 배관을 통해 왕궁의 배설물을 밖으로 빼낼 수도 있었다.

    이때 머리 위로 수조가 달린 화장실도 고안되었는데 이것은 전체 인류 역사를 통틀어 최초의 수세식 화장실 이었으리라고 추측된다.

    수조는 빗물을 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고 가물어 비가 충분히 오지 않을 경우에는 길어온 물을 부어 사용 하였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수메르 문화의 중심지였던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유프라테스강 하류에 있던 바빌로니아의 유적지인 우르 지방에서도 기원전 2,200년의 수세의자식 변기가 발굴되었습니다. 하수관을 통해 분뇨를 수세 용수와 함께 건조한 모래땅으로 스며들게 하는 방법을 써서 강이나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고도 처리할 수 있게 했습니다. 1847년 영국 정부는 런던에 대형 하수도 시설이 완성되자 시민들에게 모든 분뇨를 하수시설에 방류해야 한다는 법령을 발표하면서 현대식 화장실로 정착되는 계기가 되었고, 오늘날의 것과 거의 흡사한 가정용 화장실은 1852년 미국의 바논산(山) 위의 호텔화장실이 최초로 알려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제국에서는 수세식 화장실이 최초로 설치된 건물은 덕수궁 석조전으로 그 당시 고종 황제의 황실로 사용되는 건물에 영국식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었다. 이후, 일제 강점기때 관공서나 백화점, 호텔 등에 좌변기가 설치되었고, 한국전쟁때 미군의 영향으로 일부 시설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1960년대 말부터 좌변기가 국내 기술로 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1970년 이후 속칭 불란서 주택 혹은 새마을 주택이라는 현대식 단독주택이 유행하면서 중산층 이상에 좌변기가 보급되기 시작했고, 가정집에 대중적으로 보급되던 시기는 1980년대 초반이었다.

    자료출처: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7세기 후반부터 펌프와 파이프로 연결된 수도 공급 사업이 시작되면서 주택에 수조가 설치되기 시작했고, 물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오수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구덩이를 파서 묻어두었던 오물통 대신 저택의 지하에 오수조가 설치되었고, 오수조는 템스강으로 이어지는 하수로와 연결되기 시작했다.


    바스의 경우 토머스 애트우드(Thomas Atwood)와 월터 채프먼(Walter Chapman) 같은 사업자들이 1718년부터 어퍼 웍스(Upper Walks) 지역의 저택들을 중심으로 지하에 하수관을 연결하는 서비스를 시작했고, 런던의 경우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이들이 새로운 업종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런던의 하수도는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하수도 구축은 수세식 변기 설치를 용이하게 해주었다. 밸브가 달린 수세식 변기는 "아약스"로부터 179년 뒤, 1775년 알렉산더 커밍스(Alexander Cummings)가 출원한 특허를 통해 다시 등장했다.


    런던에서 시계수리공으로 일하던 커밍스는 밸브를 이용해 물을 내린다는 점에서 현대의 수세식 변기와 유사한 디자인을 만들어냈지만, 그의 설계에는 밸브 자체가 튼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1778년 조지프 브라마(Joseph Bramah)라는 금고제작자가 제출한 특허는 밸브의 문제점을 개선해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었고, 그가 설립한 회사는 1797년에는 6,000대에 이르는 변기를 판매했다.

    오들리 엔드(Audley End)는 1760년대에 고딕 스타일로 재정비된 에섹스(Essex)의 대저택인데, 기록에 따르면 1785년 저택에 설치된 수세식 변기 네 대의 가격이 오늘날의 화폐가치로 1,000파운드가 넘었다고 한다.


    여러 대의 변기를 설치할 수 있었던 것은 풍부한 자금뿐 아니라 오들리 엔드 근방을 흐르는 캠강(Cam River)과 연결하여 자체적으로 상 · 하수 체계를 갖추었던 덕이기도 했다.

    이와는 달리 공급업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요일과 시간에만 물을 받을 수 있었고 수조 설치가 필수적이었다. 상수의 공급, 수조와 변기 설치, 오수로를 통한 하수 처리는 화장실의 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셈이다.


    수도를 통해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하수의 처리가 쉬워지면서, 이전에는 침실에 설치되었던 집기들이 욕실이나 화장실로 자리를 옮기기 시작했다.


    교외나 지방에 위치한 대저택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수리 자체도 쉽지 않았기에 19세기 후반까지 침실용 요강이나 서랍장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공간의 분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침실용 요강이나 의자형 변기를 침실에 보관하는 경우는 드물었고,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화장실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었다.

    이전 시대에는 반길 만한 것은 아니지만 불가피하고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여졌던 생리작용이 애써 무시하거나 숨겨야 할 기피의 대상으로 변해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18세기 말에 이르면 수세식 화장실은 교양의 지표로 여겨지기까지 이른다. 제임스 길레이(James Gillray)가 1796년 발행한 삽화는 자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유럽 대륙의 미개한 청결 수준에 대한 경멸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수세식 화장실이 영국의 진보를 대변하고 있는 셈이다.

    교정 시설 개혁운동을 펼친 존 하워드(John Howard)가 써낸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의 감옥의 상태(The state of the prisons in England and Wales)』(1777)에서는 수감자들의 도덕불감증과 청결 상태가 빈번하게 연결되곤 한다.


    강제하지 않아도 위생을 지키고 배설작용을 감출 줄 안다는 것이 교양과 훈육의 척도가 되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화장실의 변천사는 생리작용에 대한 터부와 위생이라는 개념이 근대의 산물임을 암시하고 있다.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이 분리되고, 생리작용이 지극히 개인적인, 그러므로 가려야 할 것으로 인식되고, 몸을 위생적으로 정결히 가꾸는 것이 교양의 지표가 되는 일련의 과정을 화장실의 역사를 통해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18세기의 방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우리나라의 화장실은 모두 집 밖에 재래식으로 있었습니다.

    그러다 주거 양식이 양옥으로 바뀌던 1970년대부터

    화장실이 집안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정 강점기에도 건물 내부에 화장실이 생기기 시작 했지만 1970년 이후 속칭 불란서 주택 혹은 새마을 주택이라는 현대식 단독주택이 유행하면서 중산층 이상에 좌변기가 보급되기 시작했고, 가정집에 대중적으로 보급되던 시기는 1980년대 초반이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