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최근의 방식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임금의 결정 요소로서 근무시간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로자가 출근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퇴근하기까지의 시간을 통상 '근무시간'으로 간주한다고 하는데요. 과거에는 근로자가 출근부와 퇴근부에 시간을 기록하고 서명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근로자의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최근의 방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차충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자들의 근태관리를 위해 종이카드 출퇴근기록기 -> 바코드 체크방식 -> 마그네틱 카드리더기 체크방식 -> RF 비접촉 카드체크방식 -> 지문인식기를 시작으로 생체인식장비(얼굴, 홍채 등)를 활용한 최첨단 시스템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태관리 프로그램이 나와 이를 도입하는 사업장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공인노무사 차충현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슬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근 출퇴근 기록방식의 있어서 전자적 방법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입카드를 통한 출퇴근 관리가 대부분 주로 이루어 지지만, 소규모기업의 경우 기기구입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qr 코드를 활용하여 어플 등으로 출퇴근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전재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바와 같이 근무시간은 임금의 기초가 되는
토대가 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큰 기업의 경우는 전자식 출퇴근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근태관리를 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백승재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네. IT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2. 지문인식 뿐 아니라,
RFID리더기(사원증)을 이용하거나
출퇴근 앱을 활용하거나,
블루투스(비콘)나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등록한 개인 휴대폰을 확인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승철노무사입니다.
최근에는 '알밤'이라는 앱을 많이 사용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로 출퇴근 시간 변화에 따른 유연근로제 간접노무비 등 지원책이 많았는데 그 과정에서 출퇴근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이 많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에는 그 이전에도 출퇴근기록을 전자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을 갖고 있었으나, 영세 중소기업같은 경우에는 그런 방식이 부재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알밤'과 같은 무료 앱을 통해 출퇴근시간을 전자적으로 기록하고 정부 지원금도 수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승철 노무사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과거에는 출근부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요즘은 전자방식을 도입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문인식기에 지문을 접촉시키거나 출입관리기에 카드를 접촉시키는 방식을 많이 활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