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수줍은거위230
수줍은거위230

침샘 스캔 검사를 좀 이상하게 받았어요

성별
여성
나이대
34

안녕하세요

침샘 스캔 검사라는 걸 했는데 좀 이상하게 받아서 질문을 드립니다.

직원분은 한 분만 계셨고 진료도 안 봤고 안내사항이나 주의사항도 전혀 들은 게 없고

주사실 따로 없고 대기실도 없고 그냥 그 자리에서 주사 맞고 잠시 문 앞에서 대기하다가 들어갔습니다.

검사 끝나고나서도 아무런 안내사항을 못 들었어요.

검사 과정은 방사성 의약품을 손등에 주사하고 (과산화테크네슘? 이라고 하는 것 같아요)

똑바로 앉아서 엑스레이 찍듯이 납작한 판에 얼굴을 대고 정면, 측면을 찍었습니다

근데 의자를 앞으로 당겨서 꽉 누르라고 하셔서

정면으로는 코랑 이마가 짜부되도록 강하게 누르며 찍고
측면으로는 양 옆 침샘 부분을 압박하며 찍었습니다.

검사 시간은 다 해서 45분쯤 걸린 것 같아요.

  1. 다른 사람들은 통 안에 들어가 누워서 검사를 한다던데 왜 저는 앉아서 얼굴을 눌러가며 찍은걸까요?
    아무도 저처럼 받은 사람이 없더라구요
    그렇게 꼭 밀착하고 압박해야만 촬영이 되는 것도 아닐텐데 황당합니다.

  2. 침샘으로 방사성 물질이 침착된다던데, 이렇게 눌러가며 좌우로 비비고 찍어도 되는건가요?
    방사성물질이 주위로 더 퍼진건 아닐지 궁금합니다.
    혹은 침샘이 더 손상받진 않을지도요. 검사 후부터 입마름이 훨씬 더 심해졌어요... 살라겐을 먹어도 침이 안 나옵니다

  3. 혈중에 방사성물질이 돌아다니는 상태에서 이마, 코를 그렇게 사정없이 누르며 찍으면

    코 연골이나 조직이 더 손상되진 않나요? 과거에 코뼈 골절도 두 차례 겪었고 원치 않은 얼굴 손상을 많이 겪어서 걱정이 큽니다.

  4. 또한 레모나를 입에 머금고 있다가 삼키게 했고, 침 삼키는 것도 자유롭게 하게 했는데,

알고보니 침은 뱉어야 하고 (침샘에서 방사능이 나와서 침을 삼키면 피폭 가능성이 올라간다 합니다)

검사 결과도 부정확하게 나온다고 합니다.

검사 도중 침+레모나를 삼켜도 되는 건가요?

5. 손등에도 바늘을 잘못 찔렀는지 피멍이 들어있는데,... 혈관 외 유출 또한 위험하다는데 괜찮을까요?

지금 보니 바늘 들어간 주위 피부만 쪼글쪼글해져있고 할머니 피부처럼 돼있는데 왜 이러는 거죠?

주사할 때 통증 심해서 제가 아파했었긴 해요

6. 바늘은 제가 가느다란 바늘을 써달라고 부탁해서(과거 신경손상 경험 때문에) 그렇게 해주셨는데,
가는 바늘을 쓰면 방사능 입자가 작아진다고, 넓은 바늘을 써야 한다고 그러는데 뭔 말인지도 모르겠어요

가느다란 바늘로 과산화테크네슘을 주사하면 문제가 될 수 있나요?
+ 몰랐는데 조영제는 무조건 굵은 바늘로 주사해야 한다는데 혹시 방사성약물도 굵은 바늘을 써야 할까요?

7. 또 검사 후 위통이 너무 심하고, 두통도 있고, 자고 일어나니 피부가 갑자기 엄청 건조합니다. 갑자기 입맛도 없어서 밥을 잘 못 먹겠고 바늘 찌른 부위부터 어깻죽지까지 쭉 다 저리고 무겁고 특히 겨드랑이 부근이 많이 아픕니다. 코점막에서 피도 나구요. 후비루가 엄청 심해졌어요


혹시 과량을 주사해서 피폭이 됐을 수 있나요? 이건 어떻게 검사를 하며, 만약 사고라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까요?
특히 저는 위가 튼튼해서 그동안 체해본 적도 없는데 검사받은 당일부터 위가 쥐어짜듯이 아프고 뭘 먹으면 소화가 안돼서 의아합니다.

시간 지나면 다 좋아질 일시적 문제면 좋겠습니다.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1) 검사 자세는 병원 장비나 프로토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침샘 스캔에서 얼굴을 밀착시키는 것은 영상 해상도를 높이고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일 가능성이 큽니다.

    2) 방사성 물질이 침샘에 침착되더라도 눌러가며 촬영하는 것이 방사성물질을 확산시키거나 침샘 손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검사 후 입마름이 심해졌다면 방사성 의약품이나 검사 과정으로 인해 침샘 기능이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담당의와 상의해 추가 검사를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3) 이마와 코를 압박한 것이 코 연골이나 조직 손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과거 코뼈 골절 이력이 있어 민감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압박으로 인해 지속적인 손상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다만 불편감이 지속되거나 통증이 심하다면 이비인후과에서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4) 침샘 검사는 방사성 물질이 침샘에서 얼마나 잘 배출되는지 평가합니다. 침을 삼키는 것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대개 결과를 완전히 부정확하게 만들지 않습니다.

    5) 주사 부위 주변 피부가 쪼글쪼글해지고 멍이 생겼다면 혈관외 유출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방사성 의약품이 혈관 밖으로 새면 피부나 조직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며 좋아지지만 부기와 통증이 심하거나 피부 변화가 계속되면 병원에서 추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6) 가는 바늘 사용이 방사성 약물 주입에 문제를 주지는 않습니다. 굵은 바늘은 약물 주입 속도를 높이고 혈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굵은바늘만 써야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는 바늘로 방사성 의약품 주입이 적절히 잘 이뤄졌다면 큰 문제 없습니다. 방사성 입자가 작아진다는 것은 근거는 없습니다.

    7) 스트레스나 방사성의약품의 일시적인 영향으로 위통이나 소화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증상이 계속되거나 심하다면 내과진료를 통해 위염 가능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피부 건조나 두통 또한 검사과정의 스트레스나 방사성의약품의 효과로 인한 일시적 증상일 수 있습니다. 충분히 수분 섭취를 해주세요. 팔 저림이나 겨드랑이 통증은 주사 부위 신경 자극이 원인일 수 있는데 이 또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8) 방사성 의약품은 정확히 계량되어 투약되므로 과량 투여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안내사항이나 주의사항을 듣지 못하셨다는 점에서 해당 병원의 소통이 좀 아쉬운 측면이 있습니다만 말씀하신 증상들은 대개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으니 증상을 지켜보시고, 너무 오래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해당 병원이나 상급 의료기관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검사 방법의 차이점

    일반적으로 침샘 스캔은 감마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며, 환자가 누워서 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귀하의 경우 앉은 자세에서 정면과 측면 촬영을 했다고 하셨는데, 이는 장비나 병원의 프로토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얼굴을 강하게 누르거나 압박하는 것은 일반적인 절차는 아닙니다.

    방사성 물질의 영향

    방사성 의약품(99mTc-pertechnetate)은 침샘에 일시적으로 집적되었다가 배출됩니다. 검사 중 얼굴을 누르거나 비비는 행위가 방사성 물질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나, 불필요한 압박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침 삼키기와 레모나 사용

    일반적으로 침샘 스캔 중에는 침을 삼키지 않고 뱉도록 안내하는 것이 맞습니다. 레모나를 사용하는 것은 타액 분비를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나, 이 과정에서 침을 삼키게 한 것은 적절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주사 부위 반응

    주사 부위에 멍이 들거나 피부 변화가 있다면 의료진에게 즉시 알려야 합니다. 방사성 의약품의 혈관 외 유출은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바늘 크기

    방사성 의약품 주입에 사용되는 바늘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의료진이 결정합니다. 가는 바늘 사용이 검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나, 향후 검사 시에는 의료진과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후 증상

    검사 후 경험하신 증상들(위통, 두통, 피부 건조 등)은 방사성 의약품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아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담당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