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교통사고 났을 때 적응 금액은 보험 처리를 하지 않는게 낫다고 하던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경미한 교통사고는 보험 처리를 하지 않는게 좋다고 주위에서 많이 얘기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어느 정도의 경미한 교통사고를 말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미애 보험전문가
      이미애 보험전문가
      인카금융서비스(주)

      안녕하세요. 이미애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보험료가 1년갱신인데요. 이걸로 처리하면 갱신 시 많이 올라가요. 약 100만원 전후 적은 금액은 자동차보험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험 처리를 하지 않고 현금 합의로 끝내는 이유는 보험료 할증을 피하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보험 처리를 하면 사고 건수가 기록되어 보험료가 인상되거나 할인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벼운 접촉사고 같은 경우에는 보험 처리보다 현금 합의가 더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차보험은 사고 건수 요율에 따라3년간 1건의 소액사고라도 있으면 보험료가 할증될 수 있어, 3년간 무사고로 할인 혜택을 받고 있다면 사고로 보험처리를 하면 다음 갱신 때부터 무사고 할인 혜택을 받지 못해 보험료가 오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3년간의 갱신보험료와 사고처리 비용을 고려해 보험 처리가 유리한지 현재 시점 기준으로 확인해서 유리한 것으로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통상 100만원 미만은 자부담으로 하나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보험처리를 하어도 자기부담금이 있기 때문에 20만원가량은 공제되며, 우선 보험처리를 할 경우 추후 갱신시에 보험료가 인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준을 고려하여 소액의 경우 자부담 처리를 하는것이 유리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경미한 사고의 경우 보험처리를 보험할인이 3년간 안되고..

      또 여러건 사고가 나면 할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사고 처리시 자기부담금도 어짜피

      20만원 정도 나가죠..

      그렇기에 그냥 경미한 사고는 현금처리를 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찬 손해사정사입니다.

      자동차보험은 보험금으로 나간 금액이 등급 할증이 되지 않는 작은 금액이라 하더라도 사고 건수가 많아지면 보험료가 할증이 되며 무사고 할인도 받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사고 건수가 많아지면 인수 거부까지도 갈수가 있어 50만원 이하면 보험 처리보다 사비처리가 낫고 본인의 보험료가 높고 사고 건수가 있는 경우에는 더 큰 금액도 사비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형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 보험료가 할증되기 때문에 그렇게 얘기한 것일겁니다.

      자동차사고 횟수와 보상금액(200~300만원) 기준으로 할증되기 때문에 적은 금액은 그냥 자비로 처리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교통사고를 보험처리하게 되면 보험료가 할증 또는 할인유예가 3녕이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경미사고의 경우 혁금처리하는 것이 보험료 할증 또는 할인유예보다 낫기 때문입니다.

      이는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고 본인의 보험료에 따라 달리 판단을 하게됩니다.

      통상 20-30만원 범위내라면 개인처리가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