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자녀와 좋은관계를 유지하려면?
아이가 중학생이 되면서 서로 자꾸 부딪칠일들이 많이 생겨서 속상한 날들이 많은 요즘입니다 선배육아님들 사춘기 자녀와 어떻케 해야 사이가 좋아질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사춘기 아이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동굴로 들어간 곰이라 생각하고 다시 새봄에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사춘기 시기인 중학생 자녀와의 관계 때문에 속상하시겠군요. 이 시기에는 자녀와 갈등이 생길 수 있지만, 서로 소통하고 이해하면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중학생 자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몇 가지 팁입니다.
자녀와 자주 대화를 나누고 의견을 존중해주세요.
자녀의 관심사와 취미를 함께 즐기고 공유해보세요.
자녀가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도록 독립성을 부여해주세요.
자녀가 어려움을 겪을 때는 지지해주고 격려해주세요.
부모 자신도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 노력해보세요.이러한 팁들을 참고하여 자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사춘기가 되면 자기 생각이나 주장이 세지고 감정기복이 심하면서 부모님과의 트러블이 생기기도 합니다. 사춘기때는 예민해져 있는 시기라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선 일방적인 대화보다는 아이의 말에 귀기울여주고 생각이나 의견을 존중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또한 아이가 힘든부분이 없는지 , 어떤 것에 흥미가 있는지를 관심을 가지고 공유하며 편안하게 대화를 하다보면 아이와의 관계도 좋아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중학생 자녀와 좋은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이와 시간을 많이 보내주셔야 됩니다. 시간을 보내주시는게 어릴때부터 많은 시간을 친밀하게 보내주시는것을 의미 합니다. 같이 시간을 보내지 않다가 갑자기 같이 시간을 보낸다고 해서 아이와의 감정이 깊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릴때부터 계속해서 노력을 해줘야 아이와 좋은 감정을 쌓고 교감을 통해서 서로를 이해하고 챙기는 감정이 생긴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에접어든 중학생 자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녀와 대화를 마니 해보세요 그리고 자녀의 눈높이에서 자녀를 이해하려고 하시고 자녀가 반항하더라도 참고 기다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중학생 자녀와 어떤 일로 부딪히는지를 살펴 보셔야 할 것 같아요.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은 양보하되, 아이의 성장을 위해 양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대화를 나누어 보셨으면 해요.
또한 여행이나 같이 외식을 하거나 영화를 보는 등 함께 지내는 시간을 가지는 경험을 늘려 친밀감을 쌓으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태어나 처음으로 사춘기를 겪으면서 어느 누구보다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있을 현재 심리 상태를 깊이 공감해주시고 다독여주시는게 최우선입니다. 그리고 굳이 대면으로 소통하지 않더라도 SNS나 편지,쪽지로 소통해보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춘기에 접어들면 아이들은 어떻게 대응을 하고 행동을 하면서 말을 해야 하는지 모릅니다.
그리고 자신의 마음과 다르게 행동하고 말을 내뱉는 자기 모습을 보면서 때로는 당황을 하고 어찌할바를 모르기도 합니다.
부모님은 아이의 사춘기를 그대로 인정해주고, 아이가 사춘기를 잘 넘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로 자주 소통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