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

오래된 빙하가 녹으면 그안에 과거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깨어난다고하는데 바이러스는 추위에 강한가요?

현재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과거의 바이러스들이 깨어난다고하는데 빙하는 꽤 추운 곳에서 오래동안 유지되던것인데 바이러스는 얼어죽지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빙하 속의 바이러스는 극한의 추위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어붙어 있던 바이러스는 온도가 올라가면서 활동을 재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거의 바이러스들이 깨어나기도 합니다. 추위에 강한 바이러스도 있지만, 모든 바이러스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추위에 강하지 않지만, 극한의 저온에서 오히려 활동이 멈추고 잠복 상태로 오래 생존할 수 있습니다. 빙하 속에서는 바이러스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수천 년 이상 보존될 수 있으며, 얼음이 녹으면서 다시 활동할 가능성이 생깁니다. 추운 환경에서는 바이러스의 구조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어 깨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되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빙하 안에 갇힌 바이러스는 극한의 온도에서도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얼어있는 상태에서 대사 활동이 거의 없기 때문에 "죽지" 않은 것이죠. 오랜 시간 동안 얼음 속에 보존되어 있다가 온도가 상승하면서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극한의 환경에 적응하여, 저온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얼어있는 상태에서는 대사 활동이 거의 멈추기 때문에 세포가 손상되지 않고 생존할 수 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온도가 올라가면 이러한 바이러스들이 다시 활성화되어 감염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빙하 속에서 발견된 바이러스들이 깨어날 수 있는 이유는, 바이러스가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입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특히 추운 온도에서는 그 활동이 거의 중단되면서 휴면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바이러스가 활동을 멈추지만, DNA나 RNA 구조는 손상되지 않고 유지됩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활동하는 생명체가 아니므로 온도 변화에 따라 휴면 상태에 빠지는데요, 추운 환경에서는 활동이 멈추고 대사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도 구조적으로 유지됩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세포와 달리 단백질 껍질(캡시드)로 싸여 있어 외부 환경 변화에 더 잘 견딥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극한의 온도나 방사선, 압력 등에서 견디는 능력이 있습니다. 온도가 다시 오르거나 적절한 숙주 환경이 주어지면 바이러스는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빙하 속에 갇힌 바이러스도 따뜻한 환경에서 깨어나 활동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4만8500년 동안 시베리아 영구동토층 안에서 언 상태로 있던 바이러스가 되살아났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일부 바이러스와 세균은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래된 빙하나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미생물들은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동안 얼어붙어 있었지만, 적절한 조건이 주어지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바이러스는 "얼어서 소멸" 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극한 환경에 노출 되면 비활성화 되어 감염력을 잃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