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 기관차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사실상 팔라듐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는건가요?
팔라듐의 주 공급처는 매연기관, 자동차이기에, 사실상 다른 용도로 활용이 어려운건가요? 귀금속도, 금과 같은 가치보다는 덜하니까요. 팔라듐의 주요 사용처는 또 어떤 곳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계시네요
필라듐은 가솔린 차량에 주로사용 되는데 엔진에서 연소되는 유해물질, 그중에서 일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들을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촉매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기차에는 사용되지 않기에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배터리 쪽에서도 필라듐이 사용되긴 하지만 수요가 많지 않고 수소연료전지에 사용되고 있어서 해당 산업이 발전하면 그쪽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내연기관 자동차의 감소는 팔라듐 수요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데요, 팔라듐(Pd)은 주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사용되어, 일산화탄소(CO)와 질소산화물(NOx) 같은 유해가스를 이산화탄소와 질소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전기차(EV) 로 전환되면 배기가스 자체가 없기 때문에 촉매에 팔라듐을 쓸 필요가 없는데요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내연기관차 비중이 감소하면, 팔라듐의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확실히 줄어드는 추세가 됩니다.
자동차 산업이 팔라듐 시장의 절대적인 수요처이며, 다른 분야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데요, 전자산업이나 보석 및 귀금속, 치과 재료로 일부 사용이 가능합니다.
팔라듐은 백금족 금속 중 하나로, 귀금속으로서의 희소성은 있지만 금이나 백금보다 실질적 귀금속 가치가 낮은 편인데요 다만 산업용 가치가 높기 때문에 가격은 산업 수요에 따라 크게 변동합니다. 내연기관 감소 이후 팔라듐은 새로운 활용 방향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팔라듐은 수소를 흡수하고 통과시키는 능력이 탁월하여, 수소 정제막이나 연료전지 전극 촉매로의 응용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고 대체 촉매 연구도 활발해 상용화는 제한적이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팔라듐은 자동차촉매 변환기 전자사업에서 전자기기 전기 접점 휴대폰 부품 차과용 재료 등에도 활용되며 수소저장부분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