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붉은연어
붉은연어

과학 연구들중에서 사람 유전자 연구가 가장 어렵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현 시대의 과학 연구들 중에서 사람 유전자 연구가 가장 어렵다고 합니다. 이게 왜 가장 어렵다고 분류가 될까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유전자는 30억개의 염기서열코드가 나열되어있을정도로 매우 복잡합니다. 그래서 이 코드에대한 정보가담긴 게놈지도를 만든지도 최근의 일이기도합니다.

    또한 법적인 규제가많아 시도조차 어렵기도합니다.

    수많은 증빙서류와 결과데이터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유전자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서
    약 30억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중 20000~25000개 정도의 유전자가
    특정단백질에대한 정보를 담고있습니다.
    이를 모두 분석하기 위한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합니다.

    두번째로 윤리적 문제도있는데, 인간 유전자는 개인 사생활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고 개인의 안전을 침해할 우려가 있기때문에
    규제가 심한상태입니다.

    세번째로 기술적으로 고도의 정교한 기술을 요구하는데
    새로운 기술이 나올때마다 기존 기술과의 데이터 일관성을 보여야합니다.
    이를 검증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복잡성, 윤리적 문제, 기술적 한계, 개인적 다양성, 인간만의 특이성으로 인한 동물 실험의 한계 등이 있습니다.

    사실 이런 이유 때문에 다른 생물체의 다른 연구에 비해 상당히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무엇보다 사람 자체를 대생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유전체 분석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접목되면서 사람 유전자 연구가 훨씬 나아지기는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전자 수가 너무 많아 형질 분석이 어렵고 사람 유전자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람 유전자 연구가 특히 어려운 이유는 인간 유전체의 복잡성과 다양성 때문입니다. 사람의 유전자 수는 약 2만 개에 달하며, 염기쌍이 30억 쌍이나 되어 연구해야 할 정보의 양이 방대합니다. 또한 유전자는 단순히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며 환경적 요인에 따라 표현형이 달라질 수 있어 분석이 더 어렵습니다. 개별 변이의 영향이 미미하거나 복합적으로 작용하기에 질병이나 특징의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고, 윤리적 문제로 실험에 제한이 많은 점도 어려움을 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