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면대 배수구는 왜 일자가 아니라 구불구불한가요?
화장실 물 내려가는 세면대 배수구를 보면 구불구불하게 생겼는데 저렇게 생긴 모양때문에 더 물이 빨리 안 내려가고 막힐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제가 본 거의 모든 화장실 세면대 배수구는 다들 저런 모양인듯 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도에서 발생하는 역겨운 가스나 냄새(악취)를 막아주기 위해서입니다.
하수도에서 생긴 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배수관을 통해 다시 집안으로 역류하여 기어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관이 곧게 뻗어 있으면 역겨운 가스는 아무런 저항 없이 관을 타고 유유히 집안으로 들어오게 되겠죠?^^
그러나 관이 굽어져 있으면 가스의 역유입이 어렵거나 안되게 되죠
그럼에도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오래된 경우에는..
가스가 관의 중간까지 도달했다 하더라도 U자 형으로 굽은 부분에 늘 물이 차있기 때문에 하수도에서 흘러 들어온 역겨운 가스는
물에 막혀 더이상 올라오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배수관은 항상 U자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때문이죠. ㅎ
도움 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직관이 아닌 구불거리는 형상을 줌으로써, 오래된 썩은 처리물에서 나오는 가스에 대한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물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과정을 통해 찌꺼기 등을 일부 걸러내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세면대 배수구가 구불구불하게 생긴 이유는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물이 직선으로 흐르면 빨리 흐르지만 구불구불하게 흐르면 속도가 느려지고 흐름이 안정화됩니다. 또한 구불구불한 배수구는 물속의 찌꺼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세면대·양변기·싱크개수대의 밑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트랩(Trap)이라고 합니다.
구부러진 모앙새에 따라 P-Trap, S-Trap등이 있습니다.
이 트랩이 하는 역할은「트랩」이라는 단어자체의 뜻인「덫」내지는「함정(陷穽/檻穽)」의 역할을 합니다.
하수구나 정화조에 담긴 내용물이 썩으면서 생긴 폭발성 가스를
트랩안에 고인 물이 가스를 흡수하여 배수관이 폭발하는 것을 예방합니다.
또한 배수관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나 벌래가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함정의 역할을 합니다.
트랩안에 고여있는 물을 한자로 봉수(封水)라고 합니다.
봉수(封水)는「물을 가두어두다」또는「가두어 놓은 물」이라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불구불한 배수구는 물이 빠지는 속도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배수구의 구불한 형태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고, 퇴적물이나 이물질이 배수구에 막히는 것을 방지합니다. 구불구불한 배수구는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정지하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는 구불구불한 형태는 냄새를 방지하고 배수 시스템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부러진 공간에 이물질이나 기타 큰 불순물들이 한번 걸러집니다. 그래서 실수로 세면대에 반지나 그 어떤것을 빠트리면 그 공간에 머물고 있고, 세면대 바로아래 배관만 해체하여 물건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일자라면 간단히 꺼낼수있는 공간조차 없기때문에 그렇게 시공하지 않습니다.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세면대로 내려가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함입니다.
세면대의 머리카락이나 굵은 물질이 내려가면 막힐수도 있기때문에 굴곡을 주어 물만 배수되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