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Youangel
Youangel

요일제 공휴일 정책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부에서 요일제 공휴일 정책에 대해서 나오는것으로 인터넷 언론에 나오는데요 이것은 어떤 정책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날짜 중심의 공휴일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대체휴일제를 확대하거나 특정 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해 휴일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정부가 들어서면서 아무리 반노동자편을 드는 보수정당이라고는 하나 정부에서 너무 많은 노동자때려잡기를 했다고 말들이 많던데 이정도면 완전히 노동자편을 드는 것이 아닐까하네요 물론정규직들만 해당되겠지만.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일제 공휴일 정책은 기존 날짜 중심의 공휴일 제도를 개선하여 특정 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연휴 분포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일제 공휴일 정책이라는 것이 특정 날짜의 의미가 크지 않은 공휴일을 월요일 또는 금요일로 지정하여 연휴가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일제 공휴일은 미국이 시행하고 있는데요 공휴일의 지정을 '몇 월 며칠'이 아니라 '몇 월 몇 번째 X요일' 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공휴일이 토요일이나 일요일과 겹치는 사례를 없애기 위함입니다. 가령, 미국처럼 메모리얼 데이는 5월 네번째 주 월요일로 지정하는 사례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일제 공휴일 정책은 특정 공휴일이 주중 어느 요일에 속하든 항상 월요일이나 금요일로 이동시켜 연휴를 만드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날이 수요일이면 월요일이나 금요일로 이동시켜 더 긴 연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국민의 여가를 늘리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입하려는 정책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요일제 공휴일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A란 공휴일이 5월 5일이다 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A란 공휴일은

    5월 첫째 주 월요일이다, 혹은 금요일이다로 무조건 요일을 정해서 그 날을 기념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일제 공휴일 정책은 주로 한국에서 특정 요일에 공휴일이 집중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방안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중 특정 요일에 공휴일이 집중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업무와 학업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공휴일 대체휴일제: 공휴일이 주말(특히 토요일이나 일요일)과 겹칠 경우, 그 다음 주의 평일로 대체하여 쉬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공휴일이 일요일이라면 다음 주 월요일을 휴일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균형 있는 휴일 배치: 특정 요일에 공휴일이 집중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방안입니다. 예를 들어, 매년 특정 요일에 고정된 공휴일을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공평한 휴일 분포를 만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는 공휴일을 요일에 관계없이 특정한 날짜로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3·1절, 8월 15일 광복절, 10월 3일 개천절, 10월 9일 한글날 등은 모두 날짜를 기준으로 지정됐고, 설날·추석 연휴 등은 음력 날짜를 기준으로 지정한다.

    이 때문에 법정공휴일이 주말이나 다른 공휴일과 겹치면 다른 날을 따로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하는데, 번번이 국무회의에서 어느 날을 임시공휴일로 삼을 지 논의해야 한다. 일반 시민들은 물론, 기업 등으로서는 언제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지 미리 예상할 수 없어 불편이 컸다.

    해외의 경우 특정한 달, 주의 요일을 기준으로 공휴일을 정하고는 한다. 예컨데 미국의 경우 5월의 마지막 월요일이 한국의 현충일과 비슷한 '메모리얼 데이'이고, 11월 넷째 주 목요일이 추수감사절인 식이다.

    한국 역시 공휴일의 기원이 된 날짜가 뚜렷한 3·1절이나 광복절 등은 제외하더라도 다른 공휴일은 요일을 기준으로 하도록 바꾸자는 의견이 제시되곤 했다. 특히 양력 기준 설날이나 현충일은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다보니 해마다 공휴일 수가 달라지고, 공휴일이 화·목요일이면 따로 하루 개인 휴가를 내야 주말과 붙여 쉴 수 있는 불편도 컸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요일제 공휴일을 추진하거나, 대체휴일제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다만 앞서 대체휴일제가 도입될 때에도 업무 공백이 우려된다는 경영계 반발이 컸던 만큼 이를 어떻게 설득하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월급 중심인 현 급여 체계를 주급이나 월 2회 지급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나누고, 현행 법에 따라 노동시간 4시간마다 30분씩 주어지는 휴게시간을 조정해 사용하도록 하는 등 근무방식을 유연화할 방침이다.

    출처 : https://www.nocutnews.co.kr/news/6171396?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40703123041

  • 요일제 공휴일이라는 것은 특정월 몇번째 월요일을 공휴일로 정한다 이런것입니다.

    미국에서는 특정 날짜보다 특정 요일에 쉬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거의 없는데 보통 월요일이나 금요일을 이런날로 정하기 때문에 연속해서 3일을 쉬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삶의 질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런방향으로 변경을 검토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행중이지 않지만, 세계 여러나라에서 도입중인 제도로 정부가 공휴일을 특정 날짜가 아닌, ‘요일제’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가령 12월 25일 크리스마스가 아닌, 12월 셋째주 금요일 이런식으로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