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마티스
마티스

트럼프대통령이 지금 관세에 집착하는 이유가 뭐죠

트럼프대통령이 지속적으로 관세뿐만아니라

다른 정책에서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일들만 계속하고있는데 중국을 견제하는걸까요?

아니면 당선이후 입지를 확고하게 하려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트럼프가 꾸준히 관세를 강조해왔고 이러한 논리가 대중에게 먹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됩니다. 트럼프는 미국 중산층의 몰락이 제조업의 부재라고 계속 주장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제조업을 다시 부흥하기 위하여는 관세를 높여서 미국내 경쟁력을 높여야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자재에도 관세를 부과한점 그리고 이러한 정책이 역사적으로 성공사례가 없는 것으로 보아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은 기본적으로 미국 산업보호나 세수확대, 무역적자 개선, 미국내 투자확대 등을 염두하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국에 대해서는 이러한 부분 외에도 중국을 견제해 첨단기술, 제조업 패권을 지키고 강력한 대외조치를 통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소련과의 냉전이후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전세계의 패권을 유지하는 국가입니다. 따라서, 미국 입장에서는 자기들 수준에서 일정 수준으로 다가왔다고 판단하면 해당 국가를 무력화할 수 있도록 총동원하는 조치를 취하는데 트럼프는 이를 관세라는 카드를 통해 조절하는 수단 중 하나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중국을 견제하는 것은 공화당 민주당을 초월하는 부분이며 이는 다음 대통령이 민주당 정권이라고 해도 마찬가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트럼프는 다른 대통령과 달리 기존의 미국이 취했던 스탠스와 상당히 거리가 먼 정책들을 펼치고 있으며 자국만을 위하면서 그리고 자국 내의 정치적인 영향도 충분히 고려하는 조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에 집착하는 건 경제 정책이라기보다 정치 전략에 가깝습니다. 미국 내 제조업과 농업 기반 표심을 다시 붙잡으려는 의도가 큽니다. 관세를 올리면 외국산보다 미국산이 싸 보이게 되고 일자리를 지킨다는 인상을 줄 수 있으니까요. 동시에 중국 견제 성격도 분명합니다. 기술 주도권과 공급망을 다시 미국 중심으로 돌리려는 흐름 속에서 관세가 가장 직접적인 압박 수단이 됩니다. 또한 오늘 중국 관세부과조치와 같이 거래 구조를 재조정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미국 내 투자 유치 효과도 노린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