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검소한오랑우탄282
검소한오랑우탄28223.05.08

제습기의 습기 제거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가습기는 일정량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습도를 유지하는 원리라면, 제습기는 어떻게 외부의 물기 즉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습기 주위의 공기 중에 습기를 제거하는 식인것 같은데, 어떤 원리로 습기를 제거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냉각되어 응축기를 통과하여 물을 모으는 것입니다.

    이때 건조해지며 약간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에어컨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 안에는 지나가는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액화될 수 있도록 차가운 구조물을 설치하고 물을 빨아들입니다.

    이 후 공기는 다시 약간 데워서 내보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내의 습기가 있는 공기를 빨아 들이구요


    이 공기는 에어컨 처럼 차가운 판을 거치면서 습기가 냉각기에 달라붙어


    물방울이 되어 물통에 고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는 대기 중의 공기에서 불필요한 습기를 제거하여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제습기의 습기 제거 원리는 대체로 냉각 공기 제습 방식과 흡착제를 이용한 방식으로 나뉩니다.

    냉각 공기 제습 방식은, 공기를 냉각시켜 포화 상태로 만들어 냉각판 위에 물방울이 형성되도록 합니다. 그리고, 물방울은 배수로 빠져나가고 냉각된 공기는 다시 실내로 나갑니다.

    반면, 흡착제를 이용한 방식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습기를 흡착시키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흡착제로는 실리카 젤과 활성탄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장마철 실내,집안의 꿉꿉함이 심할때 제습기를 돌리면 얼마 지나지 않아 뽀송뽀송해지는데요..

    우선. 제습기를 돌리면..공기중의 포화수증기를 팬을 작동시켜 포집을 하게되고..이때 수증기와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내기 위해

    에어필터를 통과하여 먼지를 먼저 걸러준 다음..습한 공기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로 보내어져 수분이 응결되게 유도하여 배수통으로 보내어지게 됩니다.

    쉽게 말쓰드리면...공기중에 미세한 포화수증기를 포집하여 더 차갑게 온도를 내려서 기체를 액체화(물방울)시켜버리는 원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도움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습도를 낮추는 기기입니다. 제습기는 주로 냉각식과 흡착식으로 나뉘며, 각각의 원리가 다릅니다.

    냉각식 제습기는 냉각코일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를 냉각하여 이슬이 생기게 합니다. 그리고 이 이슬을 수거하여 제거함으로써 습기를 제거하는 원리입니다. 이 방식은 냉각코일과 팬 모터가 필요하고 소리와 진동이 발생할 수 있어서 운전 중에는 조용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흡착식 제습기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착하는 원리입니다. 대표적인 흡착제로는 실리카 젤이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냉각식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서 가정용이나 사무실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흡착제 교체 주기가 있어서 유지보수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냉각식과 흡착식 제습기는 각각의 원리로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습도를 조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실내의 습한 공기를 팬을 작동하여 강제로 제습기 내부로 흡입합니다. 이 때, 에어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는 제거됩니다. 습한 공기가 냉각기에 닿으면 수분이 응결되고, 이렇게 모인 수분은 물방울로 변하여 드레인 탱크에 떨어지게 됩니다.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배출됩니다. 이렇게 동작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