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금리 전망을 어떻게 바라보시나요?
현재 경기가 좋지 않다는 소식을 접했는데요.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어디까지 낮출지 궁금합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경기가 살아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2월에 0.25프로 인하해서 현재 2.75 프로 입니다
향후 올해 추가 인하를 2-3회 정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경기가 안 좋은 관계로 경제전문가들이 연말에 기준금리 예상하는게 2.00프로냐 2.25프로냐 정도 거든요
일단 기준금리를 내리는게 시중 통화량을 늘려서 내수 경기를 살리자는 차원이고 실제로 기준금리를 내리면 내수경기가 활성화되는게 있습니다 그래서 내리는거죠!
우리나라는 경기가 좋지 않고 가계부채도 많기 때문에 금리를 낮추고 싶지만 결국 미국이 금리를 낮추어야 우리나라도 금리를 낮출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환율이 역사적 최고점에 가까워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금리를 낮추면 환율이 더 상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또한 국가부채가 심각한 상황에서 채권금리를 낮추려고 하기 때문에 올해 적어도 2번까지는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를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살아나고 있는 조짐이 보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금리를 내리게 되면 시장에 통화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미국과의 금리도 차이가 날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힘들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향후 금리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경제가 나쁘기 때문에 기준 금리를 낮춰서 경기 부양을 해야하지만
당장 한국의 가계 부채 등이 문제가 되어서
쉽게 기준 금리를 낮추진 못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이미 미국 보다 많이 낮아진 상태인데요. 금리역전현상이 오래 유지되다보니 고환율, 고물가가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다만, 미국의 경기 상황이 우리나라 보다는 좋고 원달러 환율이 높기 때문에 기준 금리를 낮추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는 월가를 중심으로 금리 인하 요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세 정책으로 인해서 경제가 불안정해 금리 인하가 쉽게 진행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국도 따라서 낮추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개인은 소비를 늘릴수 있고 기업은 투자를 늘릴수 있어 경제 개선에 도움이 될것이며 유동성 확보를 통해 증시도 나아질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