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무리가 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바로 엊그제가 대보름이었습니다. 대보름과 같이 달이 무척 잘 보이는 날이 있는 반면에, 달무리가 끼면 달이 잘 보이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달무리가 끼는 원인은 과학적으로 무엇인가요? 자세한 설명이 있었으면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중의 빙정이 햋빛에 반사와 굴절되어 나타납니다
빙정으로이루어진 권층운이 끼어 있을대 생깁니다
권층운의 두께와 고도 달의 위치와 관계가 있습니다
달무리는 달 주위에 나타나는 동그란 빛의 띠 입니다.
이것은 대기 중의 먼지에 의해 빛이 굴절, 반사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
그래서 구름이 없는 맑은 날보다는 구름이 넓게 퍼진 날에 쉽게 나타납니다.
달무리는 대기 중에 있는 먼지나 물방울 등의 물체가 달빛을 산란시켜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먼지나 물방울들은 대개 대기 중에 떠다니며, 달의 위치에 따라서 조명과 그림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또한, 대기 중의 물방울들이 빛을 산란시키는 효과는 파장이 짧을수록 더욱 강해지므로, 달무리는 보통 파장이 짧은 파란색보다는 붉은색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달무리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무리가 나타나는 이유은 대기중에 떠잇는 빙정 표면에 빛이 굴절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빙정으로 이루어진 권층운 이 형성되있을 경우 달무리가 잘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