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청렴한달팽이167
청렴한달팽이16724.03.13

잠에서 자꾸 깨는데 이유가 뭘까요?

나이
2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10시 11시에 잠들어도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얕은 잠을 자게되면서 의식이 생기는 것 같고 몸 뒤척이는걸 알게돼요 그러다 시간을 확인하면 새벽 5-6시인데 왜 이러는걸까요?


전에 역류성 식도염 , 위염 약 처방 받긴 했는데 괜찮아졌다가 최근 갑자기 다시 식후 잠들기 전에 한 번, 아침에 일어났을 때 한 번 배가 고플때 속 쓰린 것 같이 그런 느낌이 들어요 .. 스트레스랑 깊은 생각도 관련이 있을까요? 참고로 당뇨는 없습니다,,


식습관도 어제ㅜ저녁에도 된장찌개랑 반찬에 밥 먹고 후식으로 요거트랑 바나나 한 개 먹은게 다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수면 중 잦은 각성과 얕은 잠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깊은 생각은 수면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정신적 긴장감으로 인해 수면 주기가 교란되고 새벽에 잠이 깨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이나 위염 등의 소화기 질환도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위산 역류로 인한 불편감이 수면을 방해하거나, 위장 증상으로 인한 통증이나 스트레스가 수면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사 후 바로 누워 잠드는 것은 역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량과 식사 내용, 수면 시간과 질 등 생활습관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녁 식사는 가볍게 하고 취침 2-3시간 전에는 식사를 마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이나 강한 빛 노출은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화기 증상이 재발하고 수면 문제가 지속된다면 내과 전문의와 상담을 권합니다. 역류성 식도염과 위염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고, 수면 패턴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교정과 스트레스 관리법에 대해서도 도움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잠들기 전이나 일어나기 전 속쓰린 느낌이 있다면 역류성 식도염, 위염과 같은 질환을 의심해볼만한 상황이라 보입니다. 가까운 내과를 방문해 진료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충분한 시간을 자지 못하는 것도 불면증의 일종이지만 깊은 수면을 하지 못하고 중간 중간 깨는 것도 불면증의 일종일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서는 수면 환경 및 습관을 최대한 건강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을 시도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1) 규칙적인 운동을 하되, 자기 전에는 운동 활동을 하지 않기.

    2) 카페인을 되도록 섭취하지 마시고, 섭취 한다면 낮 시간 동안만 하기

    3) 자기 전에 휴대폰, 컴퓨터 등 전자기기 사용을 피하고 독서 등 조용한 활동을 하기.

    4)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을 기르기.

    5) 음주량을 줄이기.

    6) 일정한 장소에서 수면하고, 수면하는 장소는 조용하게 유지하고 지나치게 밝지 않도록 충분히 어둡게 유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