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에 의해 기후가 변할수 있다는데 무엇때문인가요?!!
유튜브 영상을 보니 질문드린 사항처럼 구름에 의해 기후가 변할수가 있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 및 과학적 이유로 이러한 기후 변화가 생길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크기와 양에 따라서 태양열을 통과/반사 시키기도하고, 비/눈을 만들어서 기온이 떨어지게 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구름은 태양광을 반사하기 때문에 구름이 많을수록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광의 양이 줄어들고, 이는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특히 바다의 층적운은 지구 표면의 20%를 덮고 있는데, 이는 태양광 반사의 3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름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서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데, 열대 지역의 구름은 지구 온난화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극지방의 구름은 태양광을 반사하여 지구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구름의 특성이 변하면 극지방의 기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태양 복사를 반사하거나 흡수하여 지구 표면으로 전달되는 복사 열의 양을 조절합니다. 밀도가 높은 구름은 태양 복사를 많이 차단하여 지구 표면의 가열을 제한하고, 반대로 밀도가 낮은 구름은 태양 복사를 통과시켜 지구 표면을 가열할 수 있습니다구름은 대류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구름이 형성되고 성장하면서 열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공기의 움직임을 유발합니다. 이는 대기의 열 분포를 변화시키고 기후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구름은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를 반사하는데, 이는 알베도 효과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밝은 구름은 태양 복사를 반사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는 지구의 열 균형과 기후에 영향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기본적으로 비를 내리고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후 그 자체를 만들어냅니다.
예를들어 화산이나 운석충돌 이후에는 먼지구름에 의해 지구가 덮히면서 지구 전체의 온도가 내려가기도 합니다.
반대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지구평균온도 상승이라는 기후변화에 의해 구름의 상태가 변화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수증기의 증발량이 많아져 더 많은 구름이 만들어지고, 지구 자전힘을 받아 한점으로 모여들며 슈퍼 태풍을 만들기도 합니다.구름을 위성사진으로 보면 하얗게 보입니다. 이것은 구름이 태양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구름이 태양빛을 반사하면 구름 아래의 지표면은 그만큼 태양빛을 덜 받게 됩니다. 태양빛이 지면에 도달하는 정도에 따라 지표의 기온이 결정되므로 구름이 있으면 없는 것보다 지표면의 기온이 내려갑니다.
실제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는 기술 중에 대기권에 구름을 만들 수 있는 응결핵이나 작은 액체방울을 뿌려 태양빛을 반사시키는 것도 있습니다.
구름이 있고 없고에 따라 지표면의 기온이 달라지므로 구름이 어떤 지역의 기후를 바꿀 수도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지구의 기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구름은 태양의 열을 가두거나 반사하여 지구의 기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구름은 비와 눈을 내리게 하여 지구의 물 순환에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