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많이사랑스런늑대
많이사랑스런늑대

상장폐지가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식을 하다보면 상장폐지가 되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조심해야 된다더라고요.

상장폐지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상장폐지 요건은로는, 사업보고서 미제출, 감사인의 의견거절 3년 이상, 영업정지 처분, 회사 부도, 주식분산미달, 자본잠심, 관리종목 지정 후 특정 요건 미달 지속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상장폐지는 말그대로 시장 등록된거가 다시 그 자격을 잃어 시장에서 거래못하게 되는 걸 말합니다.

    아래는 코스피 코스닥 상장폐지 조건들인데, 아래 조건들이 되면 심사하여 폐지될수 있습니다.

    코스

    2년 연속 자본잠식률 50% 이상

    2년 연속 매출액 50억원 미만

    코스닥

    2년 연속 자본잠식률 50% 이상

    2회 연속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2년 연속 매출액 30억원 미만

    2회 연속 자기자본 50% 초과 세전손실 발생

    근데 경영상 일부러 상폐시킬 수도 있구요. 경영자가 좀더 강한 권한으로 운영하기 위해서요.

  • 상장폐지는 회사가 주식시장에서 퇴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회사가 계속해서 돈을 잃거나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상장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그 회사 주식을 가진 사람들이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주식 상장폐지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장폐지란 유가증권의 적격성을 상실하고 상장한 상태가 취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공시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도 상장 폐지 대상입니다.

  • 주식의 상장폐지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상 문제, 재무상 문제, 규정 위반 등으로 인해 상장폐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기업이 장사를 너무 못해서 지속적으로 손실이 나고 사실상 망한 경우에도 상장 폐지가 됩니다

    그것 외에는 한 번씩 있는데 엄청난 회계 부정이 있는 경우에 상장 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상장폐지의 경우에는 부실 경영 및 재무구조가 악화 되엇을 때 발생할 수 있는데 계속적인 적자 누적으로 자본 잠식이 발생하거나 회생 가능성이 낮아 계속 기업으로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될 때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회계 자료의 중대한 허위기재나 누락이 발견되어 투자자 보호에 심각한 우려가 있거나 감사인의 감사의견을 거절하는 경우 회계 부정 또는 분식회계로 상장폐지 될 수 있습니다.

    또는 주가가 지나치게 낮아서 투자자 보호에 심각한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장기간 비정상적으로 등락을 반복하는 등의 주가 변동성이 너무 클 때 주가가 부적정함을 이유로 상장 폐지될 수 있고 자본금, 주식분산율, 매출액 등의 상장 요건을 계속해서 미달되는 경우에도 상장폐지 될 수 있으니 이러한 이유를 참고하시어 투자하실 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증권시장에 상장된 증권이 매매대상 유가증권으로서의 적격성을 상실하여 상장 자격이 취소되는 행위를 말합니다.

    상장기업의 경영상태에 중대한 결함이 발견될 경우 한국거래소가 일정기간 관리종목으로 지정한 후 관리종목 지정기간 동안 경영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정리매매 절차를 거쳐 상장폐지 조치를 하게 됩니다. 물론 기업이 갑자기 부도/도산/파산이 발생할 경우 관리종목이 되지 않고 바로 상장폐지로 직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상장폐지 사유로는 대표적으로 사업보고서 미제출, 감사의견 거절, 영업정지, 부도 발생, 자본 잠식, 주식 분산 미달 등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상장폐지사유로는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거나, 감사인이 사업보고서에 의견거절을 한 경우, 영업실적 부진으로 재무구조가 자본잠식에 빠진 경우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상장폐지가 되는 요건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횡령/배임 등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 감사의견 비적정, 사업보고서 미제출 등과 같이 투자자 보호에 미흡한 점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상장폐지심사가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