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푸른눈테해오라기05
푸른눈테해오라기05

글쓰기 습관과 피드백 활용법 등 작품 완성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글쓰기 능력을 키우고 싶은데 초안만 쓰고 끝나거나 완성도가 낮아 고민입니다.

매일 꾸준히 글쓰기 습관을 만드는 방법 작성한 글에 대한 효과적인 피드백 활용법등을 통해 작품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데 우선 초안을 작성하시고 있으니 절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시작이 반이잖아요^^

    글 쓰시는 분께서 초안을 어떤 식으로 작성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초안을 작성하실 때 가능하면 결말을 미리 만들어 놓고 글을 쓰신다면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글을 쓸 때 보통 이런 내용의 이야기를 쓰겠다고 생각하신다면 바로 그 이야기의 결말은 이러하다 하고 정해 봅니다.

    이후 이야기의 주인공 및 주변 인물 등에 대한 위치를 지정하고 각 캐릭터를 설정하고 그 관계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이야기를 끌어나가기 위해 벌어져야 하는 사건 1, 2, 3...발생 순서와 그 사건 마다의 각 캐릭터들의 연관 관계를 설정해둡니다. 그리고 그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에 관계되는 캐릭터들도 설정해둡니다

    이후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과정에서 결말이 바뀔 수도 있지만 이런 식으로 미리 내려놓은 결말에 따라 이야기를 맞춰 나가는 것이 이야기의 완성도에는 도움이 될 겁니다.

    그리고 피드백의 활용은 저는 개인적으로 글을 다 쓴 후 받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험으로는 중간에 받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혼동을 주어 되려 글을 제대로 풀어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글을 다 쓴 후 피드백을 받아 매끄럽지 못한 부분 등에 대해 수정 보완하는 방향으로 해나갔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였습니다. 글을 쓰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글을 쓰시는 단계는 이제 시작하셨다니 정말 축하드립니다.

    • 다만, 이제 완성도를 높히고 싶으시다면 쓰는 것에 할애하시는 시간보다 대문호의 명작을 읽으면서 생각을 하는 시간을 좀 더 늘리셔야합니다.

    • 이러한 생각과 사고의 과정 속에서 뭔가 띵...하고 울리는 창작의 소재와 영감을 스스로 찾아가셔야하며 이러한 문학적 감각이 떠오르실 때 문장으로 영혼을 담아내는 과정을 계속 영위하신다면 분명 우수한 풐질과 완성도의 글이 곧 나오실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작품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습관화, 체계적인 수정, 효과적인 피드백 활용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꾸준한 글쓰기 습관을 만드는 방법

    ① 고정된 시간대 확보하기: 매일 일정한 시간을 '글쓰기만을 위한 시간'으로 정합니다. 시간이 짧더라도 꾸준함이 핵심입니다.

    ② 글쓰기 전 의식화 루틴: 스트리칭이나 커피 한 잔, 조용하고 집중이 되는 음악 등을 글쓰기 전 나만의 루틴으로 만들면 글쓰기 습관이 고정되어집니다.

    ③ 주제, 아이디어 수집의 습관화: 일상에서 떠오르는 생각, 책에서 감명 깊게 읽은 문장, 대화 중 인상적인 말 등을 스마트기기나 노트에 기록하여 글감을 만들고 쓸거리는 늘려나가는 작업을 습관화 합니다.

    ④ 소량으로 매일 실천하기: 어제보다 한 줄 더 쓴다는 마음으로 부담을 낮게 잡아 꾸준히 할 수 있는 기본을 만듭니다.

    ⑤ 성장 체크와 보상: 매일 쓴 글이나 할 일을 체크하고 한 주씩 작게 나마 자신을 칭찬하거나 소소한 보상을 마련하여 성취 동기를 강화합니다.

    -초안에서 완성도로 가는 단계적 접근

    ① 초안을 빠르게 작성하기: 완벽한 글을 쓰려고 너무 오래 고민하면 오히려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생각나는 대로 초안을 써내려가고 틀린 부분과 헐거운 부분은 나중에 고치는 습관을 들입니다.

    ② 퇴고 습관: 초안 작성 후 무작정 퇴고하기 보다는 잠시 글에서 눈을 때고 객관적인 관점이 돌아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③ 작은 목표 세우기: 구체적인 목표(이번에는 제목만 수정, 문장부호/맞춤법 검토, 논리적 연결성 검토 등)로 나누어 수정 과정을 세분화합니다.

    -작성한 글에 대한 효과적인 피드백을 활용하는 방법

    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피드백 요청: 구체적인 질문(어떤 점이 어색한지, 이 부분의 논리가 잘 전달 되는지 등)을 던지면 더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② 즉각적이고 솔루션 중심의 피드백: 피드백을 너무 늦지 않게 받고, 단순한 칭찬이나 지적 보다는 어떤 점이 좋고,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받아야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③ 여러 채널을 활용한 피드백: 친구, 글쓰기 모임, 온라인 커뮤니티 등 다양한 채널에서 피드백을 구하여, 타인의 시각에서 본 의견을 얻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완성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④ 피드백을 기록하고 정리: 받은 피드백들 중 실천 가능한 내용을 리스트로 만들어 놓치는 부분이 없게 합니다.

    -마음가짐과 장기적 실천의 중요성

    ① 실수와 부족함은 성장의 기본: 피드백이나 퇴고 과정에서 실수가 발견되더라도 좌절하기 보다는 완성도 높은 글을 쓰기 위한 과정임을 인식합니다.

    ② 주기적 점검: 일정한 기간을 두고 글쓰기 습관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루틴의 방향을 조정합니다. 장기적 변화를 위한 노력이 될 것입니다.

    정진하시어 훌륭한 글을 얻으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