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일본이 한국보다 문학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본의 경우 기초 과학에 있어서도 노벨상 수상자 25명을 배출하였고 문학 분야에서도 3명이나 배출하여 마찬가지인데요. 일본이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한국보다 먼저 나왔고, 다수의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었던 요소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단순히 국력과 그에 따른 국가 인지도의 문제인지 문학 분야의 작가와 작품 수준이 높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문학에는 우열이 없습니다. 그건 국력과 국가인지도 문제입니다.

    누구나 읽기만 한다면 진리를 깨우치는 경전이나

    살인마 사이코패스도 읽자마자 개심하는 소설같은게 있더라도

    읽을 수 없다면 아무 의미가 없죠.

    한국이 현재 처럼 세계적으로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며

    그 이전까지는 차라리 핵가지고 협박하는 북한이 훨씬 더 유명했습니다.

    그리고 "핵가지고 협박하는 나라의 글을 배워야지~"하는 사람은 없죠

    또한 한국은 냉전시대때 사상경쟁의 최전선 이었기 때문에 검열도 엄격했고

    국제적 문제를 객관적으로 다루기 힘들었다는 점
    유연성이 높아 아름다운 글을 만들 수 있지만 반대로 번역의 난이도는 매우 높다는 점 등

    불리한 점이 한두개가 아니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대표적인 문학 작품들은 보통 역사적인 맥락과 연결이 되어진 문학 작품 들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인 박경리 선생님의 < 토지> 와 같은 작품은 , 일본 식민지 시대인 1930년대부터 한국 전쟁 후까지의 시대적 배경을 그린 작품인데 이렇게 역사적인 배경을 이해 하지 못하면 그 작품을 이해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에 더 어려움이 있습니다. 반면 일본 문학은 여운이 남는 서사, 절제된 감정 표현, 개인의 내면 탐구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고 시대적 배경이나 역사적인 배경을 잘 몰라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별로 없습니다. 예를 들어 노벨 문학상 수장자인 가와바타 애스나리의 < 설국> 과 같은 작품은 일본의 한 온천 마을을 배경을 한 소녀의 정서를 통해 일본 문화의 정신적 본질을 섬세하게 표현 했다고 평가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한국보다 많은 이유로는 단순한 국력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복합적으로 볼 수 있는데요. 일본은 장기적으로 오랜시간 동안 문학과 기초예술에 투자를 해왔으며, 일찍부터 국제 문학계에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번역과 해외 출판을 장려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창작 환경과 단단한 문학 생태계도 높은 수준의 작품과 작가를 배출해내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