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똘똘한 파파스머페트
똘똘한 파파스머페트

초4학년 남아. 시간 관념이 없어서 큰일 입니다.

11살 남자아이인데 시간 관념이 없습니다.

학교갈 시간이 다 됐는데도 아무 생각없이 수다 떨고 있습니다.

너 학교 안가냐~ 호통 치면 그때서야 준비하고 등교합니다.

시간에 맞춰서 움직여야 되는데 시간은 상관 없이 , 시간이 얼마가 됐는지 신경도 안쓰고 그냥 떠들고 만화책보고 있습니다.

옆에서보고 있는 부모 마음만 조급해 집니다.

이런 아이는 어떻게 교육 시켜야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시간을 안지킬 때 때 지속적으로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스스로 시간을 보는습관을 들게 해주는것이 좋으며

    시간에 대해서 알람을 맞추거나 하면서 스스로 시간이 되면 준비하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알람 시계를 활용해 보세요.

    시간 관념이 없는 아이들은 내가 지금 시간에 뭘 해야 하는지 잊어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람 시계를 통해서 아이가 자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거실 잘 보이는 곳에 시간표를 크게 작성해서 붙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시간관념이 생길 수 있도록

    아이와 함께 일일 계획표를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하루 일과(등교, 학원)등을 함께 작성해보시고

    그에 맞게 아이가 시간을 지킬수있도럭 해보시기 자람니다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시간을 잘 지킬 수 있도럭 아이와 계획표를 만들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계획표대로 알람을 맞추는 것도 도와주시고

    처음에는 도움이 많이 필요해도 익숙해지면 스스로 잘 지킬갓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시간은 한번 지나가면 다시는 오지 않는다는

    점을 부각하여 교육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시간은 사람과 사람간의 약속이라는 점을 상기시키시고

    시계를 자주 보는 습관을 가지도록 교육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침 시간에 스스로 알아서 챙겨 잔소리로 시작하지 않는 즐거운 아침을 만들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을 때가 많은 것 같습니다.

    기질적으로 빠른 사람들은 무엇이든지 뭐든지 제 때 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느린 사람은 행동이 느리다기보다 시간개념에 대해 좀 더 느긋한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만약 부모와 아이의 기질이 이렇게 다르다면 아이는 약간 늦는 것이 별문제가 안 되는데, 부모는 이러한 상황에 답답하고 불편한 마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아이에게 시간에 대해 재촉한다고 해서 그 상황이 크게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기질적으로 다른 아이의 성격을 이해는 해주되, 시간 개념에 대해선 아이와 차분하게 대화를 나눠 보기 바랍니다.

    아침 시간에 해야 할 일들을 전날 아이와 이야기를 미리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