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근, 측두근 보톡스 대신에 턱 근육 줄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부가 설명이 길어질 것 같아 질문의 주제를 먼저 말씀드립니다.
보톡스 대신으로 많이 발달된 턱근육을 줄이거나 관리할 수 있는 방법 혹은 기기가 있을까요?
저는 지나친 턱근육 발달로
하관이 많이 비대하고 발달된 사각턱
두통이 심함
이갈이로 인한 이 갈림
위와 같은 불편함을 겪고 있어 교근과 측두근 보톡스를 정기적으로 맞아 관리해주고 있습니다.
보톡스가 이 3문제를 해결해주어서 만족도는 굉장히 높습니다. (최근에 좀 더 심해진 오픈바이트를 제외하면요.)
하지만 항상 걱정이 되는 것은 언제까지 보톡스로 해결이 가능할지, 보톡스를 맞고 나서 입이 제대로 다물어지지 않아 원래는 전혀 없었던 오픈바이트가 생기고(+입 마름), 두통과 미관상의 해결 역시 기간제성으로 해결이 되는 상황이 답답했습니다.
위의 걱정을 제외하면.. 보톡스가 위의 3문제는 개선해주기에 주기를 잘 맞춰 관리할 생각이 있기는 하지만,
언젠가부터 좀 더 진행되고 있는 개방교합 문제와 보톡스를 맞을 때마다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한 달 사이에 요리나 아르바이트, 식사, 히터, 운동 등 뜨겁고 열기와 땀이 많이 느껴지는 곳에서 일하거나 행동하는 게 보톡스 효과를 금방 사라지게 할까봐 활동이 많이 꺼려집니다.
보톡스가 보통 열 60도 이상에서 변형이 일어난다고 들었는데 그래도 고온, 급격한 온도 변화, 뜨거운 환경에 굳이 노출할 필요는 없다는 답변들이 참 애매하게 느껴져서 유독 더 걱정이 되고 활동적인 제약이 많이 부담스러운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보톡스 대신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혹시나 있을까 전문가 분들의 답변이 듣고 싶어 도움을 청해봅니다.
아래는 턱근육 개선을 위해 알아보거나 해본 것들입니다. ──
원래도 딱딱하거나 질긴 거를 즐겨먹지는 않았지만 보톡스 후에는 더욱 질기거나 딱딱한 것을 피하고 있습니다.
보톡스가 어떤 원리로 작용하고 효과가 생기는지, 어떻게 사라지는 것인지 찾아보았습니다.
보톨리눔이 신경?에 붙어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억제시켜 턱 근육을 이완시킨다고 들었습니다. 정확히 열 몇 도에서 변성이 일어나는지는 설명 글 마다 차이가 있어 제가 알기로는 최소 45~최대 80도 사이라고 정리하였습니다.
Y자로 생긴 EMS 중주파 디바이스가 턱 근육을 줄인다고 하여 괜찮을 것 같아 열심히 찾아봤는데, EMS 중주파는 생각보다 턱근육 이완에는 효과가 없고 오히려 근육을 운동시켜서 더 발달만 시키기 때문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서 전문가 분의 의견도 궁금합니다.
보톡스 이전에 턱,측두 마사지를 1-2년 넘게 매일 매일 해주었었는데 잠깐 시원한 느낌은 들지만 두통이 사라진다거나 미관상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았습니다.
교근축소술은 안전성과 얼굴 처짐, 생각보다 빠르게 원래대로 근육이 돌아온다는 문제로 아직까지는 조금 부담스러운 것 같습니다.
정 방법이 없다면, 보톡스를 맞고 어느 행동까지는 괜찮은지((히터or여름)+마스크, 가스레인지 요리, 숯불 요리 식사 등...) 의학적으로 설명하여 이야기해주신다면 좀 더 덜 걱정하게 지낼 수 있을 것 같아 함께 부탁드려 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보톡스 관련 주의사항은 치과에서 설명들으신 바, 알아보신 바와 크게 다를게 없습니다.
보톡스가 열에 약한 특성이 있는 것은 맞지만 일상적인 생활 범주 내에서 보톡스가 영향을 받을 확률은 높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것 중 요리는 영향이 있을 수도 있겠네요.
보톡스 대체 물질이 활발하게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임상 적용 사례는 제한적입니다.
보톡스 외에는 수술요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교근, 측두근 보톡스 대신에 턱 근육 줄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보톡스 맞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턱근육이 과대하게 발달해서 불편감이 잇다면 보톡스로 정기적으로 치료를 하시는게 가장 좋은ㅇ 방법입니다. 근육을 제거할순 없고 다른 물리치료나 ems는 일시적인거라 효율적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