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 금융 위기가 한보그룹사태라는데 맞는 말인가요?
1990년대후반 초유의 IMF금융위기가 닥쳐서 기업들이 줄도산되어 실업자가 급증해서 온나라가 힘든 시기였는데 그원인이 그룹인 한보그룹사태가 주원인이라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보그룹 정태수 회장은 철강 사업에 뛰어들기 위해 한보철강을 설립하였으나 당진제철소를 지을 돈이 없어 김영삼의 차남 김현철 등 정계 유력인사들에게 뇌물을 주어 약 5조원의 불법 대출을 받았다. 그러나 정태수는 이 돈의 대다수를 다른 사업에 투자하는 등의 행위를 하다 결국 덜미가 잡혀 5조 원의 빚을 떠안고 당진제철소가 부도 처리되었고 이 여파로 한보철강과 한보그룹도 줄줄이 부도되었다.
재계 14위 대기업이 갑자기 5조 원 규모의 빚을 지고 부도나자 이 여파로 금융권의 자금경색을 초래해 대한민국의 경제가 나락으로 치달았고 이에 다른 기업들도 줄줄이 부도가 나면서 1997년 외환 위기의 방아쇠를 당겼다고 평가받는 사건이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보사태란 한보그룹 정태수 회장은 철강 사업에 뛰어들기 위해 한보철강을 설립하였으나 당진제철소를 지을 돈이 없어 김영삼의 차남 김현철 등 정계 유력인사들에게 뇌물을 주어 약 5조원의 불법 대출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정태수는 이 돈의 대다수를 다른 사업에 투자하는 등의 행위를 하다 결국 덜미가 잡혀 5조 원의 빚을 떠안고 당진제철소가 부도 처리되었고 이 여파로 한보철강과 한보그룹도 줄줄이 부도되었습니다.
재계 14위 대기업이 갑자기 5조 원 규모의 빚을 지고 부도나자 이 여파로 금융권의 자금경색을 초래해 대한민국의 경제가 나락으로 치달았고 이에 다른 기업들도 줄줄이 부도가 나면서 1997년 외환 위기의 방아쇠를 당겼다고 평가받는 사건입니다.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에 맞습니다. 한보 그룹 사태가 외환 위기 사태의 불씨가 되었습니다. 한보 그룹 정태수 회장은 철강 사업에 뛰어들기 위해 한보철강을 설립하였으나 당진제철소를 지을 돈이 없어 김영삼의 차남 김현철 등 정계 유력인사들에게 뇌물을 주어 약 5조원의 불법 대출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태수는 이 돈의 대다수를 다른 사업에 투자하는 등의 행위를 하다 결국 덜미가 잡혀 5조 원의 빚을 떠안고 당진 제철소가 부도 처리되었고 이 여파로 한보철강과 한보그룹도 줄줄이 부도가 납니다. 재계 14위 대기업이 갑자기 5조 원 규모의 빚을 지고 부도나자 이 여파로 금융권의 자금경색을 초래해 대한민국의 경제가 나락으로 치달았고 이에 다른 기업들도 줄줄이 부도가 나면서 1997년 외환 위기의 시초가 되었다고 평가받는 사건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IMF의 경우 한보사태를 시작으로 급격히 경제위기와 함꼐 외화 유동성이 발생하면서 IMF위기가 맞았습니다. 한보 위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보그룹사태가 주요 원인이자 IMF사태의 시작으로 볼 수는 있겠으나, 정권홍보차원의 다량의 외화 유출, 금융기관의 부실화, 경상수지 적자 등의 다양한 원인이 한번에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 IMF사태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원인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위기의 시작이 한보그룹에서부터 시작했다는 거인데요.
5조원이나 되는 빚을 지고서 파산하는 바람에 금융시장 전반에 큰 피해를 입힌 사실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https://eastsky3483.tistory.com/56
관련 기사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