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아리따운에뮤272
아리따운에뮤27222.11.08

빛번짐이 심한데백내장 치료를 하고 렌즈 삽입시술을 해도 되나요?

나이
53
성별
여성
기저질환
당뇨

당뇨 망막증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빛번짐이 심해서 수술을 하고 싶은데 련즈때문에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치료는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가끔 주사치료도 하는데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가끔주사치료중이라면 혹시 당뇨망막병중이 안정화가 덜되었을수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이 안정화된상태에서 백내장수술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빛번짐의 원인이 무엇때문인지 확인해야겠습니다.

    렌즈를 한다고 빛번짐이 사라지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 백내장 및 렌즈 삽입술은 당뇨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도 시행할 수 있으며 해당 수술이 당뇨 망막병증을 진행시키거나 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백내장 수술 후 렌즈 삽입술을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백내장 수술 할 때 시행하는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렌즈 삽입술이므로 인공 수정체를 삽입한 후에

    추가로 렌즈 삽입술을 시행하지는 않고 도수를 결정할 때 인공수정체에 한번에 결정을 해서 삽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당뇨망막병증은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당뇨병의 합병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질환이에요.

    이는 세계 각국의 실명 원인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뇨병 경력이 30년 또는 그 이상인 환자의 약 90%에게서 발생하며, 15년 전후일 경우에는 발병률이 약 60~70%에 이릅니다. 혈당 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 더욱 잘 발생합해요.

    초기에는 망막병증이 있으면서도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진찰이 필요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 질환 치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은 혈당치보다 당뇨병을 앓았던 기간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혈당을 엄격하게 조절할 경우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고, 그 정도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어요.

    또한 당뇨병의 초기에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당뇨망막병증의 빈도를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에요.

    당뇨병 환자는 혈청 지질이 증가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지질 이상은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을 조장하여 당뇨망막병증의 미세혈관 변화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혈청 지질을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혈압을 조절하거나 흡연을 하는 경우에는 금연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일단 발생한 망막병증, 특히 증식성 망막병증에 대해서는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 '광응고 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이를 잘 치료하면 실명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 한편 초자체의 출혈이나 망막의 박리 등으로 시력이 더욱 저하된 경우에는 초자체 제거술과 같은 외과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광응고 요법의 부작용으로는 치료 시 통증, 각막 미란, 일시적인 안압 상승, 시야 장애, 조기 시력 저하, 황반 부종, 황반 응고, 맥락막 박리, 맥락막 출혈, 삼출 망막 박리, 견인 망막 박리 증가, 유리체 출혈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작성자분의 백내장의 정도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여 결정 권유드림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