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봄베이혈액형이 발생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A형이나 B형의 항원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표현형적으로 O형으로 나타나는 봄베이혈액형이 발생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사람의 ABO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A 항원 또는 B 항원이 존재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데요 그런데 A와 B 항원이 세포 표면에 자리 잡으려면 전구체가 먼저 필요합니다. 이 틀은 H 항원이라고 불리며, H 유전자(FUT1 유전자) 가 작동하여 만들어지는데요 즉 O형은 H항원만 있는 경우이고, A형은 H항원에 A당이 붙은 경우이고, B형은 H항원에 B당이 붙은 경우이고, AB형은 H항원에 A당과 B당이 붙은 경우입니다.

    이때 봄베이 혈액형은 H 유전자(FUT1) 에 돌연변이가 생겨 H 항원이 아예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인데요, 따라서 A 유전자나 B 유전자가 있어도, 붙을 자리가 없으므로 실제 적혈구 표면에는 A나 B 항원이 발현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유전자형은 A, B, 혹은 AB일 수 있지만, 표현형은 O형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또한 보통 O형은 항-A, 항-B 항체만 혈청에 존재하는데요 그런데 봄베이 혈액형(hh)은 H 항원 자체도 없기 때문에 따라서 혈청에 항-H 항체까지 존재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O형 혈액을 수혈받아도, 그 속의 H 항원 때문에 강한 면역반응(용혈반응) 이 일어나며 결국 봄베이형은 같은 봄베이형 사람의 혈액만 수혈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A형 또는 B형 항원의 전구체인 H항원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H항원이 먼저 만들어진 후, 이 H항원에 추가적인 당이 결합하여 A 또는 B 항원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봄베이 혈액형은 H항원을 만드는 FUT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기능이 없는 hh 유전자형을 가지게 됩니다.

    결국 hh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은 H항원 생성 효소를 만들 수 없으므로, 적혈구 표면에 H 항원이 형성되지 않고, A형 또는 B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더라도, H항원이 없기 때문에 A 또는 B 항원 역시 형성되지 못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적혈구에는 A, B, H 항원 모두 존재하지 않아 혈액형 판별 시 O형과 동일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전자형은 A형이나 B형일 수 있지만, 표현형은 O형으로 나타나는 것이죠.

    참고로 이러한 특성 때문에 봄베이 혈액형인 사람은 O형을 포함한 모든 혈액형으로부터 수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일반적인 O형의 적혈구에는 H 항원이 존재하는데, 봄베이 혈액형인 사람의 혈청에는 H항원에 대한 항체가 있기 때문입니다.

  • 봄베이 혈액형은 A형과 B형 항원의 바탕이 되는 H항원이 생성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적혈구에 A형 또는 B형 항원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H항원이 먼저 만들어져야 하는데, H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기능이 상실되면(유전자형 hh) H항원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유전자형이 A형이나 B형이라 할지라도 H항원이 없어 항원이 발현되지 못하므로, 혈액형 검사 시에는 A항원과 B항원이 모두 없는 O형으로 표현됩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입니다.💡

    ​유익한 질문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A형이나 B형 유전자를 가졌음에도 O형으로 표현되는 봄베이 혈액형의 신비한 원리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그 유전학적 비밀을 최대한 명쾌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1. 질문의 요지

    • ​A형이나 B형의 항원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표현형적으로 O형으로 나타나는 봄베이 혈액형이 발생하는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해하시는군요.

    ​2. 답변

    • ​가장 중요한 점: 봄베이 혈액형은 ABO 혈액형을 결정하는 'H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유전자에 결함이 생기면 A 또는 B 항원을 만들 수 있는 '기초 물질(H 항원)'을 생성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O형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3. 구체적인 설명 및 근거

    • ​이유:

      (​정상적인 혈액형 발현) 우리 혈액형은 단순히 A, B, O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A형과 B형 유전자는 각각 A형, B형 항원을 만드는 효소를 만들지만, 이 효소들이 작동하려면 적혈구 표면'H 항원'이라는 기본 틀이 있어야 합니다.

      마치 집을 짓기 위한 '토대'와 같습니다. H 유전자가 이 토대를 만들고, A형 유전자는 그 토대 위에 A라는 지붕을, B형 유전자는 B라는 지붕을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O형 유전자는 지붕을 올리지 못하는 유전자입니다.

    • ​(봄베이 혈액형의 발현) 봄베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H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H 항원이라는 '토대'를 아예 만들지 못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A형이나 B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그 유전자가 만든 효소가 붙을 곳이 없어 A형 또는 B형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4. (참고) 실제 사례/대응방안 등

    • ​표현형 vs. 유전자형:

      결과적으로 이들의 적혈구 표면에는 아무런 항원이 없으므로, 검사 결과는 O형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이들은 유전자적으로는 A형, B형, 혹은 AB형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특징(O형)은 '표현형', 유전적인 구성(A, B, O)은 '유전자형'이라고 부릅니다.

    • ​수혈의 위험성:

      ​봄베이 혈액형은 수혈 시 매우 위험합니다. 이들의 혈장에는 A, B 항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O형에게는 없는 'H 항체'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O형 혈액을 수혈받아도 H 항체가 수혈된 적혈구를 공격해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이 때문에 봄베이 혈액형은 오직 같은 봄베이 혈액형끼리만 수혈이 가능합니다.

    5.​결론

    • 봄베이 혈액형은 A 또는 B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그 항원을 발현시키는 데 필요한 'H 항원'이 없어 O형처럼 보이는 매우 희귀한 경우입니다.

    =======

    궁금증이 조금이라도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언제든지 더 궁금한 것이 생기면 똑똑 문을 두드려 주세요~.👋

    이상,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