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해상 수출 시 T1 보세운송 관련 문의 드립니다.
유럽은 내륙지역으로 MAIN PORT까지 배로 운항 후 해당 국가까지 보통 T1 운송하여 진행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래와 같이 문의 드립니다.
도착지 항구 : 독일 HAMBURG, 최종 도착 국가 : 체코
상기와 같이 진행 할 경우 독일에서 체코까지 T1 운송 진행 방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T1 운송이란 운송허가로 도착국까지 운임을 부과하지 않는 운송방법입니다.
입국항이 없는 유럽내륙국가들이 EU에 가입하면서 EU역내 물품에 대한 통관 및 관세부과가 폐지되었습니다. 非EU 국가 수입물품에 대해서만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입항지가 비록 EU내 다른 국가이지만 입항지에서 통관하여 증빙서류인 T2를 발급받아 자유롭게 EU 역내의 국경을 이동하는 경우보다 보세상태에서 최종 목적국으로 운송하여 자국에서 통관을 하는 T1(Transit운송허가) 운송이 내륙국가 수입화물의 보편적인 운송방법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T1 신청을 하시면 되며, 자세한부분은 포워더와 상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수출업체는 t1 문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해당 서류에는 화물의 상세 내역과 운송경로 발송 및 앱 수신이 내 정보가 포함됩니다. 함부르크에서 출발하기 전에 독일의 세관의 수출 신고를 해야 합니다 함부르크 항구에서 화물이 도착하면 독일 세강이 화물을 검사 해당 서류를 승인합니다. 티원 음성을 위해 보증금이 요구될 수 있으며 화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될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운송 중에는 T1 서류가 항상 화물과 함께 있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아무리 독일을 떠나 체코로 가는 동안 다른 이유 국가를 경유할 경우 각국가의 세관에서 티원 서류를 확인하고 통과하게 됩니다 체코에 도착하면 현지 세관에서 화물을 검사하고 t1서류를 확인합니다. 체코사관은 비원 운송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독일 세관에 해당 내용을 전달합니다. 이때 보증금은 반환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현지의 운송사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T1서류에 대한 국내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k_customs/221327066793
5) 보세통관
보세 운송(T1 혹은 Transit document)은 수입통관 완료 전에, 화물이 이동될 때 보세 운송서류(T1)를 반드시 발행해야 하는데 이 서류는 스웨덴 이외 EU국으로 배송 시 수화인이 해당국에서 직접 수입통관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이 밖에도 화물의 스웨덴 항구 도착 이후 수입통관이 바로 진행되지 않고 보세창고로 운반될 경우에 창고까지 운송을 위해 발행하기도 한다. 보세운송 통관에 필요한 서류는 인보이스, 포장명세서 등이며 스웨덴 이외 EU 국으로 배송하는 경우에는 해당국 통관사무실 주소가 필요하다.
https://welcon.kocca.kr/ko/info/market/sweden?subTabNo=tab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