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1차 세계대전이 서유럽열강들이 제국주의 식민지 쟁탈 전쟁?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이유가 유럽의 화약고인 지중해 발칸반도가 원래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 였다가 오스만 제국이 유럽의 병자로 전락이 되면서 민족주의로 서서히 독립이 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진출해서 부동항을 확보하려는 러시아 민족국가들과 불만과 갈등으로 사라예보 사건이 터지면서 전쟁이 났었잖아요 해가 지지 않는 나라인 대영제국 시절의 영국과 프랑스가 제국주의로 식민지를 많이 선점해서 전쟁난 점도 있었나요?독일의 3B정책과 영국의 3C정책 충돌 그 이전에는 프랑스의 횡단정책과 영국의 종단정책?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부분도 1차 세계대전의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민족주의의 충돌이 세계대전의 의의가 되었다고 보긴 어려우며, 세계의 패권을 두고 서구의 열강들끼리 크고 작은 분쟁을 일으키다 사라예보 사건으로 그 도화선이 되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대표적으로 직접 언급해주신 독일의 3B 정책과 영국의 3C정책은 연합국과 동맹국의 대표격끼리의 충돌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