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훈훈한타킨174
훈훈한타킨174

이 경우에는 생리 끝나고 경구피임약 복용 시 피임효과가 언제부터 있을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25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경구피임약

1. 생리주기가 평균 36일로, 긴 편입니다.

2. 이번 생리가 5월 5일에 시작해서 5월 11일에 끝났습니다.

3. 5월 17일부터 경구피임약 복용을 시작합니다.

원래 생리 시작 3일 내에 복용을 시작해야하는 것은 알고 있지만 평소 생리주기가 너무 길어서 다음 생리를 기다리는 것보다 경구피임약 복용을 일단 시작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 시작했습니다.

이 경우에도 복용 2주 후부터 피임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두 번째 팩부터 피임효과가 있나요?

그리고, 생리 주기가 저처럼 길면 배란도 늦게 되는 건가요? 28일 주기인 사람은 생리 끝나고 1주일 후 쯤에 배란이 된다고 보잖아요, 저는 배란이 더 늦게 돼서 생리 주기가 긴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생리 시작 첫날부터, 최대 5일 이내에 경구피임약 복용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피임효과는 장담드릴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이중피임이 필요해 보입니다.

      경구피임약 복용시에는 배란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영 약사입니다.

      1. 복용 2주 후부터 피임효과 기대 할 수 있습니다

      2. 배란일로부터 무조건 14일 뒤에 생리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가 36일일 경우 생리시작일로부터 22일뒤에 배란을 하고 그 이후 14일 뒤에 생리를 한다고 보면 됩니다. 생리시작일로부터 배란일까지의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고 배란일로부터 2주 뒤 생리는 모든 여성이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생리 끝나고서부터 일주일이라고 하셨는데, 생리 기간이 사람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생리시작일로 카운팅을 시작해야 정확하니 참고하세요. 36일 주기도 생리시작일 기준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생리시작일이 아닌 기간이 경과한 후에 경구피임약을 복용한 경우에는 그 달에는 피임효과가 저하될수 있기에 보조피임요법을 병행하길 권장드리며 두번째부터는 피임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평균적인 생리주기는 28일정도입니다. 36일은 약간 긴편이시네요. 피임약은 28일을 1주기로 계산합니다.

      생리첫날부터 먹지 않아도 일주일이상 드시면 피임효과가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피임약의 경우 생리 첫날에 드셔야 첫날부터 효과가 있습니다.

      생리 첫날에 드시지 않은 경우라면 7일간은 이중피임 권유드리며 8일차부터 피임효과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미 생리가 끝난 후에 드시는 경우라면 다음주기부터 피임효과 기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21알 드시고 7일 휴약하시고 8일차에 새로운 피임약 드시면 됩니다.

      생리주기가 긴 경우 일반적으로 배란일이 지연되긴 하겠습니다만,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보통 생리시작 5일 이후에 피임약을 복용하신다면 1~2주 동안은 이중피임을 해주셔야합니다.

      이후에는 피임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생리주기가 긴 경우 배란일이 일정하지 않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피임약을 드시고 10일정도가 지나면 피임효과가 생깁니다. 21정 복용, 7일 휴약이 1주기이며 약을 잘 드신다는 전제하에 피임효과는 유지됩니다. 생리주기가 긴 이유에 대해서는 산부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평소 주기가 길기때문에 2주정도는 이중피임하시길 바랍니다. 그 이후부터는 피임효과가 유지됩니다. 평소에 너무 길어서 피임약 휴약기에 생리를 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최소 3팩이상 드셔보시고도 잡히지 않으면 전문의약품이 더 좋을수도 있으니 산부인과진료를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