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화수증기량에 관해서 중3 시험 이의제기
교과서 정의에 따르면, 포화 수증기량이란 "포화 상태의 공기 1kg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사진 속 문제에서, 2kg의 포화 수증기량은 공기에 질량과 관계없이 오직 기온에 따라, 답은 10 아닌가요? 문제에선 수증기량이 2배가 됐으니 포화 수증기량도 2배라는 걸 말하고 싶은데, 포화 수증기량이란 위에 말씀 드렸다시피 "1kg당" 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포화 수증기량이 2배가 되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저의 생각으로는, 공기의 질량과 관계없이, 기온이 일정한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은 일정해야 하므로 문제의 답은 2번입니다. 또한 답이 3번이 되려면 그 2kg의 공기가 포화 상태라는 조건이 주어져야 20g의 공기가 들어있다고 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제발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포화수증기량은 건조한 공기가 최대로 품을 수 있는 수증기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공기의 양에 따라 공기 속에 들어갈 수 있는 포화수증기량이 결정됩니다. 표에서 20℃의 포화수증기량이 10g/kg 이라고 했고, 20℃의 공기 2kg에 들어있는 포화수증기량을 물었으므로 정답은 20g입니다. 문제에서 '포화수증기량'을 물어보았으므로 공기가 포화 상태이든 아니든 상관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20℃의 공기 2kgdl 최대로 품을 수 있는 수증기량을 물어본 것이므로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