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8세기 성상파괴운동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동로마의 황제 레오 3세가 성상 금지령을 내리고 성상파괴운동이 일어났는데요.

성상은 종교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일텐데 왜 파괴하는 운동이 일어났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풍족한듀공209
    풍족한듀공209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레온 3세가 이 시기에 성상 금지령을 발한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성상에 대한 공경이 부활한 후 성상 파괴파의 저작 등은 이단 문서라는 이유로 파괴되어 현대에 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레온 3세 이전부터 성상 공경에 대한 의문과 비판은 꾸준했으므로 특별한 게 아닐 수도 있다. 그 밖의 몇 가지 요인으로 화산 분화 등과 같은 천재지변, 우상을 부정하는 이슬람교의 비판 등을 들 수 있다. 어쨌든 이 운동은 동로마 황제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로마 교황에게 좋은 명분을 제공했다. 여기에 정치적, 문화적 요인까지 겹쳐 결국 동서 교회의 분열, 즉 기독교가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으로 갈라서는 최초의 교회 분열로 이어졌다.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8세기 성상 파괴운동은 이미지와 성물에 대한 아이코니클라즘(이미지 파괴주의) 운동으로, 8세기 중반에 비잔티움 제국에서 일어났습니다. 이 운동의 배경과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적 분쟁: 이 기간에는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 사이의 종교 분쟁이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아이코니클라스트(이미지 파괴주의자)와 아이코노도울(이미지 숭배주의자) 사이의 논란이 예방하고 있었습니다.

    권력싸움: 아이코니클라스트 운동은 권력과 관련이 깊었으며, 여러 제국관과 지배자들 사이의 권력 싸움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런 사회적 불안정성이 이 이미지 파괴운동을 부추겼습니다.

    아이코니클라스트 규정: 726년과 730년에 이제 승인된 이미지 파괴 규정에 따라 그리스 정교회 교회에서는 이미지와 성물의 제작과 숭배가 금지되었습니다. 이는 종교적 논쟁과 불만을 촉발했습니다.

    사회적 불안: 제국 내부와 외부에서의 문제, 세력 기득권층과 평민층 간의 갈등, 농업 위기 등이 종교적 논란과 이미지 파괴운동을 격화시켰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8세기 성상 파괴운동은 그리스 정교회 내부의 분열을 더욱 깊게 만들었으며,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