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와우와우위
와우와우위

예금 게좌 개설시 2년, 3년도 괜찮나요?

예금 계좌를 개설할 때에 주로 1년짜리로 개설을 많이 하던데

2년이나 3년짜리를 선택해서 개설해도

괜찮은 선택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 계좌의 기간 선택은 개인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년이나 3년 만기 예금도 충분히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 예금은 단기 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므로, 당장 현금이 필요하지 않다면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 예금의 경우 중도 해지 시 이자 손실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긴급 자금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면, 일부는 단기로, 일부는 장기로 분산 예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현재의 경제 상황과 금리 전망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년이나 3년 만기 예금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자신의 재정 상황, 미래 계획, 그리고 경제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재무 상담사와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 계좌의 만기 기간을 2년이나 3년으로 설정하는 것은 금리와 본인의 자금 계획에 따라 고려해볼 수 있는 선택입니다.

    1년 만기는 금리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좋습니다.

    하지만 만기가 길어질수록 금융기관에서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2~3년짜리 예금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향후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고정된 장기 예금이 유리하지만,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있다면 1년 만기를 선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중도 해지 시 패널티가 있을 수 있으니, 자금이 중간에 필요할 가능성을 고려해 만기 기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예금 계좌를 1년이 아닌 2, 3년으로 개설하는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람들이 주로 1년짜리로 개설하는 것은

    일단 기간이 짧아서 좋고

    그리고 이율이 비교적 더 높기 때문에 그렇게 합니다.

    다만, 이율이 더 낮아질 것을 예상한다면 2-3년 짜리로 하는 것도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 계좌를 개설할 때 2년이나 3년짜리 선택은 충분히 괜찮은 결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1년짜리 예금이 인기가 있지만, 더 긴 기간의 예금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많아 더 많은 이자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긴 기간 동안 자금을 묶어 두게 되므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유동성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재정 상황과 필요한 자금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장기적인 계획이 있다면 2년 또는 3년짜리 예금도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지금과 같은 고금리에서 저금리로 진입하는 시점에는 오히려 장기간으로 예금을

      가입하는 것이 유리한 결정입니다.

    • 실제로 코로나 시기에 6%가 넘는 예금을 가입한 사람들중에 3년 이상짜리로 가입한 사람들은

      지금도 6%대 금리 수익을 얻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가 인하하는 시기에는

    이러한 만기가 긴 예금 등을 가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기에 나쁜 선택이

    아닐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에 대하여 이자율을 확인후 더 높은 이율을 준다면 괜찮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현금이라는것이 필요할 수도 있기에 2~3년내로 주택구매 등의 변수가 없는지 한번 더 체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년이나 3년 기간의 예금 상품에 가입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예금은 이자율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자율을 참고하시어 가입해야 합니다.

    앞으로 예금 금리가 떨어질 것 같다면, 2~3년 상품을 가입하는 것도 한가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선택 문제이기에,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대게 1년 단위로 많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네, 그렇습니다. 미래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면 지금 시점에서 고금리로 2년, 3년 묶어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예금을 1년으로 많이 한다고 하지만 그게 사람마다 틀리긴 할거 같습니다

    2년 3년짜리는 향후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2-3년간 꾸준히 인하한다는 가정하에 가입하거나 기준금리가 꽤 높은 상태여서 예금금리가 2년 3년짜리 가입해도 후회없을때 하는게 맞습니다

    지금 기준금리는 3.25% 이고 시중은행 1년 예금금리는 3.50% 전후 입니다 2-3년짜리는 3.50이 안되죠

    이게 내년까지 우리나라가 기준금리 2차례정도 인하를 예상하기 때문에 그런데요

    내년말에 기준금리가 2.75% 가되면 예금금리 1년짜리가 3프로 정도 나올거 같습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저도 예금 있는데 저는 3개월짜리로 계속 돌리거든요 3.4% 정도 나오더라구요

    이것저것 신경쓰기 싫고 장기간 쓸일이 없는 돈이라면 2년 3년짜리 예금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오랫동안 해지 할 생각이 없는 돈이라면 2,3년도 괜찮다고 봅니다.

    1년이 넘어가면 금리가 조금이나마 올라갈 수 있고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시기에는 장기로 가입해도 좋습니다.

    다만, 사람일이 어찌될지 모를 수 있어 오랜기간동안 자금이 묶이는것이 리스크가 될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예금들을 보면 대부분 2-3년 보다 1년짜리가 금리가 더 높습니다. 그 이유는 미래의 금리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은행 입장에서 미래에 금리인하가 이뤄져 해당 금리보다 낮춰도 되는데 이미 3년에 높게 가입이 되어 있으면 손해이니 보수적으로 책정을 한 것입니다. 이에 예측이 어렵기는 하나, 미래에 금리인하가 될 것 같다면 2-3년짜리 상품도 좋고, 그게 아니라면 1년짜리를 반복하는 것이 좋을 수 있겠습니다. 

  • 예금 계좌를 개설할 때는 고객이 원하는 대로 1년, 2년, 3년 등 기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정기예금은 보통 약정 기간이 길수록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므로, 자금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예치할 수 있다면 2년이나 3년짜리를 선택해 이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정 기간이 길면 중도 해지 시 이자 손실이 커질 수 있으므로 자신의 자금 상황을 신중히 고려하여 적절한 예금 기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당연히 가능합니다. 다만 본인의 자금 상황과 금리, 수수료를 감안하면서 만기 일정을 선택하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 계좌 개설 시 1년으로 많이하는 이유는 1년 뒤 금리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2~3년으로 묶었다가 금리가 올라갈 경우, 상대적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저금리 기조가 있기 때문에 장기예금도 나쁘지 않지만 1년만기예금 금리와 비교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