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아리따운참고래164
아리따운참고래164

비행기는 어떤 원리로 인해서 하늘을 날 수 있는 건가요?

생각해보면 참 신기해요

그 큰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도 있고 또 높은 대기권에 있는데도 고장나지 않고요

어떤 원리로 그런 큰 비행기가 사고없이 날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쉽게말하면 비행기는 날개 위아래의 압력차이인 양력으로 뜨고, 엔진추진력을 이용해서 앞으로 나아가는거에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하늘을 나는 원리는 양력과 추력에 있습니다.

    양력은 비행기의 무게와 반대로 작용하여 비행기를 공중에 띄우는 역할을 하게 합니다.

    이는 비행기가 앞으로 움직일때 날개 위쪽으로 지나가는 공기는 아래쪽 공기보다 더빠르게 이동하며,

    날개위는 압력이 낮아지고 날개 아래는 압력이 높아 지면서 생깁니다.

    또한 엔진은 공기를 뒤로 밀면서 움직일 수록 날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또한 빨라져 양력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이유는 양력이라는 힘 덕분입니다. 이 양력은 비행기 날개의 특별한 형태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간략하게 이야기하면 비행기는 엔진의 추력으로 앞으로 나아가고 그 속도로 인해 날개에 공기가

    흐르게 되며 날개의 형태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양력이 발생합니다. 양력이 중력보다 커지면 비행기는 하늘로 뜰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날 수 있는 힘의 원리는 양력 입니다. 이 양력은 베르누이의 정리 및 뉴턴의 제 3법칙에 의해서 작용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주된 원리는 양력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위쪽이 아래쪽보다 더 볼록하게 생긴 독특한 모양(에어포일)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엔진의 추진력으로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면 이날개 모양 때문에 날개 위쪽을 흐르는 공기가 아래쪽을 흐르는 공기보다 더 빠르게 지나가게 됩니다.

    공기의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진다는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날개 위쪽은 압력이 낮아지고 아래쪽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아집니다. 이때 날개 아래쪽의 높은 압력이 위쪽의 낮은 압력보다 커지면서 비행기를 위로 들어올리는힘 즉 양력이 발생하는것입니다. 이 양력이 비행기의 무게를 이겨낼때 하늘로 뜰수있습니다.

    높은 고도에서도 고장나지 않고 안전하게 운항하는 것은 항공기가 매우 튼튼한 소재로 제작되고 모든 시스템이 여러 단계의 안전장치와 백업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철저한 정비와 엄격한 규제가 사고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비행기를 띄우는데 필요한 힘은 양력이라고 합니다

    수직으로 받는 힘으로 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는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구래서 빼른 속도로 달리게 되면 양력위 힘이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