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주식 월별 총손익을 알 수 있는 방법이 뭔가요?
제가 국내주식, 해외주식, 지수선물 계좌 총 3개를 각각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주식에서 해외주식으로 계좌간 자금 이동이 몇번 있었구요.
계좌간 자금이동이 되어서 각 계좌별로 자산 현황이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ex) 해외주식 → 국내주식 에서 1억이든 2억이든 자금이체했을 시 나중에 보면 국내주식 평가금이 2억이 늘어나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경우를 방지하고자 합니다. (주식 매매 없었다고 가정하에)
증권사는 당해월 자산평가(자산증감) 밖에 제공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작년 주식을 시작했던 때, 각 계좌별 초기 원금부터 월별 순자산증감액과, 총손익을 알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요?
1) 22년도 1월부터 주식을 시작해 현재까지 하고 있는 상태이고, 22년도 5월 국내주식의 총손익을 알고 싶다면,
22.4.30 ~ 22. 05.31 로 국내주식 평가손익과, 실현손익을 조회 후 실현손익 + 평가손익을 하면 총손익을 알 수 있는 건가요?
2) 실현손익(= 매매손익) 인가요?
3) 22년도 5월 31일 자로 조회된 유가증권 평가금액에 실현손익을 빼주거나 더해줘도 자금이체에 상관없이 순전히 주식 매매로 벌어들인 평가금액이 나오지 않나요?
4) 제가 알기로 매매금액에서 수수료나 세금을 제외한게 정산금액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수선물 계좌를 조회해보니, 정산금액이 매매금액보다 더 크게 나옵니다. 적게 나와야 정상아닌가요? 왜 이렇게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맞습니다.
2. 이개념 또한 맞습니다.
3. 맞습니다.
해당 자금이체에 상관없이 손익을 볼 수 있습니다.
4. 일단 계좌의 사진을 올려주시면 명확한 설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