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조선시대 양반의 하루 일과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지금은 어느 누구나 구분없이

어느 정도 여유가 있고 돈이 있다면 하루하루를 보람차게

보낼 수 있고, 즐기면서 살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과거에는 신분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이 정해져 있었는데,

일반 백성은 끼니 걱정에 하루하루를 보냈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양반들의 하루 일과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아침 6시경 일어나 경전을 읽고 신당을 참배 후 아침식사를 했습니다.

      그 후 학문을 토론하거나, 손님을 응대, 노비를 점검, 간단히 점심 식사를 한 후 그림, 서예 활동을 즐겼으며 저녁 식사 후 문안인사, 경전 읽기, 하루를 성찰하며 마무리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 양반의 하루 일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공부입니다. 양반은 유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살아가는 계층이었기 때문에, 공부는 양반의 필수적인 일과였습니다. 양반은 아침 일찍 일어나 책을 읽고, 글을 쓰며 공부를 했습니다. 공부는 양반의 지식과 교양을 쌓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또한 양반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두 번째는 출사입니다. 양반은 국가의 공무를 맡아 나라를 위해 봉사하는 것을 자신의 소임으로 여겼습니다. 따라서 양반은 공부를 통해 학문을 쌓고, 출사를 준비했습니다. 출사는 양반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길이었으며, 또한 양반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세 번째는 여가입니다. 양반은 공부와 출사를 통해 바쁜 일상을 보냈지만, 여가 시간도 충분히 가지고 있었습니다. 양반은 여가 시간을 통해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거나, 학문을 연구하거나, 예술 활동을 즐겼습니다. 여가 시간은 양반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삶의 활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양반의 하루 일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새벽 - 일어나 세수하고, 간단한 식사를 한 후 공부

      오전 - 공부

      점심 - 식사

      오후 - 공부

      저녁 - 식사 후 여가 활동


      물론, 양반의 하루 일과는 개인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양반은 공부에만 몰두하여 출사를 하지 않았으며, 일부 양반은 여가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도 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유교 중심이었기 때문에 양반은 유교를 공부하고 널리 보급하는데 앞장섰으며 유교의 원리에 따라 생활하고자 하였고 따라서 양반들의 의식주 생활도 유교의 영향을 받아 절제해야 할 것이 있었기 때문에 모든 것을 마음껏 누리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오전 일찍 일어나서 부모님꼐 문안 인사 드리고 글 공부 하고 관직이 있으면 등청을 해서 업무를 보고 , 조선 시대에 관리들은 보통 오전 6시에 틍청을 했습니다. 저녁6시에 퇴청 하면 저녁 먹고 또 저녁에 글 공부도 하고 유교 경전도 보고 혹여나 술 약속이 있으면 술 한잔 하고 .. 거의 머 요즘의 공무원들과 거의 비슷한 생활을 한 것으로 보여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