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받으면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혈액형이 다른사람의 피를 수혈받으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쇼크로 사람이 죽게 되는건가요? 아니면 피의 응고가 일어나나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은수 전문가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받으면 면역 반응이 일어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BO 혈액형 시스템에서 수혈받은 혈액형이 수혈받는 사람의 혈액형과 맞지 않으면, 수혈받는 사람의 면역 체계가 수혈된 혈액의 적혈구를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공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급성 용혈 반응이 일어나며, 그 결과로 발열, 오한, 혈압 저하, 쇼크, 심지어는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피의 응고보다는,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이 주된 문제입니다. 따라서 혈액형이 정확히 맞는 경우에만 안전한 수혈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혈액을 수혈해야 할 때 혈액형이 같아야 수혈이 가능한데요, 적혈구 표면에는 여러 종류의 항원과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 중 항원성이 강하고,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종류로 혈액을 구분한 것이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인데요 수혈 할 때, 헌혈 할 때, 장기 이식, 골수 기증 할 때 등의 상황에서 혈액형 조사가 필요합니다.   ABO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A, B항원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나뉘는데요, 각각의 항원에 대한 항체가 만나면 적혈구가 파괴되고 응집 반응이 일어납니다. 반면에 O형인 사람의 혈액의 적혈구에는 A, B항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른 혈액형에 O형의 혈액을 수혈 가능합니다. 하지만 항A 항체(anti-A), 항B 항체(anti-B)가 O형 혈액에 존재하므로 다른 혈액형을 O형에게 수혈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서로 다른 혈액형의 피가 소량 섞인다고 해서 사망을 하지는 않지만, 헌혈과 같이 다량의 피가 투입될 경우에는 강력한 항원-항체 응집반응으로 인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받으면, 수혈받는 사람의 면역 시스템이 그 혈액의 항원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공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 응고가 일어나거나, 세포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면역 반응이 매우 강하게 일어나면서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급격한 혈압 저하, 호흡 곤란 등으로 이어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으면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한 심각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 죽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받으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 혈액에는 적혈구 표면에 A, B 항원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혈액형이 다르면 이 항원에 대한 항체가 서로 반응하여 적혈구가 엉겨 붙는 응집 반응이 일어납니다. 응집된 적혈구는 혈관을 막아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심각한 경우 장기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죠. 게다가 응집된 적혈구가 신장을 손상시켜 급성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두통, 호흡곤란, 혈압 변화, 근육통, 소변량 감소 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소량 들어가는것은 자가 면역으로 어느정도 해결이 되요

    많이 들어가면 자가 면역으로 피가 응고되어 위험할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