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할때 경기 싸이클에서 어떤구간은 소극적 어떤구간은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야하나요
저는 주식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경제 싸이클 중에
어떨때 주식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야 하고 그리고 어떨때
소극적으로 투자를 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 경기 사이클에 따라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기 사이클은 일반적으로 침체기, 회복기, 확장기, 둔화기의 네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적절한 투자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침체기에는 경제가 침체 상태에 있어 주식 시장의 성과가 저조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보수적인 투자 전략을 채택하고, 방어적인 섹터나 안정적인 배당을 제공하는 주식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복기에 접어들면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때는 보다 적극적인 투자 전략을 고려할 수 있으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주식이나 경기 민감 섹터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경제가 확장기에 접어들면 주식 시장이 강세를 보입니다. 이 시기에는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통해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으며, 기술주나 소비재와 같은 성장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제가 둔화기에 들어서면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때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단계에서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적절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경기 사이클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경제 지표와 시장 동향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의 대다수 기업은 사이클 산업이고 대표적으로 메모리반도체가 이런 사이클 산업에 있으며 주로 글로벌 경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수출산업니다.
구체적인 예로서 반도체가 호황기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때 투자할 경우가 높겠지만 그렇다고 무조건적으로 관련 반도체 부품기업에 투자했다가는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국내 주식은 먼저 6개월~1년동안 주가에 선반영을 하기 때문에 뉴스에 완전 호황기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이 크게 늘어난 시점이 주가의 고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다수 국내 대다수의 싸이클 기업은 싸이클 산업의 특성으로 이익변동성도 싸이클 주기에 따라 크게 변동하게 되면 오히려 주가가 고점일때 이익이 굉장히 높게 나오면서 PER밸류에이션 상대적으로 저 PER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이때 저PER인 이점에 매도를 고려해보고 소극적으로 투자를 할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런 싸이클산업은 매출액 가이던스 전망이 서서히 꺽이거나 매출액 성장율 즉 20%성장하는게 다음분기 18% 16%성장을 하면서 성장율이 꺽일때가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할 구간이 높습니다.
반대로 싸이클이 완전히 하향추세에 접어들고 주가도 장기추세하락에 접어들고 반도체 경기가 아예 안좋을때 시점부터 적극적인 비중을 늘릴타이밍을 보시면됩니다. 이 구간부터 본격적으로 재고가동율이 늘어나고 주요 셋트업체인 즉 빅테크업체들 이들의 재고가 줄어들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주가가 턴어라운드할 가능성이 높은 구간으로 판단해야하고 이때는 상대적으로 실적이 좋지 않아서 고 PER인경우가 많은데 바로 이때 즉 고 PER 일때 투자하는 형태가 좋은 투자전략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 경기 사이클을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기 사이클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경기 확장기:
경제가 성장하고 실업률이 낮아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고 주식 시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때는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정점기: 경제 성장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입니다. 주식 시장이 과열될 수 있으며, 이때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경기 후퇴기: 기업의 이익이 감소할 수 있으며, 주식 시장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소극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경기 회복기: 경제가 다시 성장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적극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각 구간별로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ㅇ 불황기 : 저평가 종목을 찾아 저가 분할매수, 매수비중 점차 상승
ㅇ 회복기 : 성장중인 종목찾아 공격적 투자
ㅇ 호황기 : 수익실현 중 종목 분할 수익 실현 및 현금화
ㅇ 침체기 : 불황기 대비하여 현금비중 확대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부진 시기에는 주식 시장이 하락하고, 경기 호황 시기에는 주식 시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기 부진 시기에는 안정적인 성장주나 배당주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이는 주가 하락을 상쇄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경기 호황 시기에는 성장주나 고위험 고수익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시기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분산 투자 전략을 통해 위험을 분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 사이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실제로 경제 사이클 파악은 어렵습니다. 그래서 수축 국면으로 추정되는 기간에 장기간 분할매수를 하고 회복 국면 에서부터 상승 국면으로 갈 때는 조금씩 분할 매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아라 라는 방식으로 장기분할 매수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의 특성 상 경기는 사이클을 타게 됩니다.
경기 사이클은 크게 확장기, 정점기, 수축기로 나누어지고 있습니다. 알기 쉽게 도표를 첨부 해 보겠습니다.
확장기 시기에는 경기가 활황을 띠게 되고 주식 가격이 상승 하는 구간이기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진행 하는 전략이 필요 합니다. 하지만 정점기는 가격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기이기에 투자 시 유의 해야 하는 시기 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정점기를 쉽게 판단 하기 힘들기 때문에 투자 시 확실한 목표와 원칙에 의거하여 매수매도를 평소에 하는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은 별점 부탁 드립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투자시 경기 사이클에서 어떤 구간에서 소극적 투자를 어떤 구간에서 적극적 투자를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라면 저점을 지나 회복기에서 적극적으로 매수를 하고
정점에 이를 때에 매도를 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수축기와 확장기 까지 매집을하고 경기 성숙기에 주식을 매도해야 하는것이 좋습니다
그 이후 쇠퇴기가 올때는 자본시장이 큰 하락을 이끌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경기가 확장국면에서 진입해서 주식시장에도 매수세가 몰리고 기업가치가 적정가치보다는 고평가를 받을때는 소극적 태도로 투자를 해야하고 경기침체 국면시 패닉셀로 인해 주가가 급락할 때는 적극적으로 매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cnn의 공포탐욕지수를 참고해 투자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보았을 떄, 호황기나 주식이 너무 과도하게
상승하는 시기에는 버블이 꺼질 수 있기에 보다 소극적으로 투자,
그리고 자산의 가격이 지나치게 하락하는 등 때에는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일반적으로 경기 활황 국면일 때는 소극적으로 투자를 해야하고, 경기 불황 국면일 때는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야 합니다. 즉, 워런 버핏의 표현을 빌리자면 '남들이 탐욕을 부릴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을 부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