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살가운불곰128
살가운불곰12821.03.18

한중 무역 전망이 어떻게 되나요?

최근 무역 시장 큰 이슈가 어떻게 되나요?

무역쪽 (중국) 취업 고민하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무역 관련 전망은 어때보이는지....

전문가님의 답변 들어보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최근 가장 큰 이슈는 미-중 무역 전쟁입니다. 현재 미국 정부가 트럼프 정부에서 바이든 정부로 바뀌면서 미-중 갈등이 완화된다는 전망도 있지만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견제는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든 정부하에서도 미-중 무역 전쟁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 이후 대중 수출이 상재적으로 호조를 보이면서 대중수출의존도가 상승했습니다. (25.5%) 코로나로 인한 마스크, 세정제,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으며 반도체, 굴삭기와 같은 제품의 수출도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대중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중국 관련 무역업을 하는 회사들의 전망은 좋은 편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주 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통상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교역 현황

    · 중국은 우리의 제1위 교역국, 수출국 및 무역 흑자국

    - 2019년 대중국 교역 규모 2,434억 달러

    - 대중 수출 1,362억 달러, 수입 1,072억 달러(흑자 290억 달러)

    ※ 2019년 한국은 중국의 제3위 교역 대상국(출처: 중국해관총서)

    - 수입 면에서는 2013년부터 중국의 최대 수입 대상국으로 부상

    - 한중 수교 당시(1992년) 63억 달러이던 교역액이 2019년 약 39배 증가

    · 대중국 교역 주요 품목(2019년)

    - 수출 : 1)집적회로, 2)석유와 역청유, 3)나프타, 4)액정디바이스,

    5)반도체보울이나 웨이퍼 품목이 전체 수출의 약 41%를 차지

    - 수입 : 1)집적회로, 2)전화기, 3)자동자료처리기기, 4)기계부품,

    5)절연전선·광섬유케이블 등 ​5대 품목이 전체 수입의 약 30.3%를 차지

    ◎ 투자 현황

    · 2008년 이래 중국은 미국에 이어 우리의 제2위 투자 대상국

    - 2019년 대중국 투자액 58.0억 달러(출처: 한국수출입은행, 실제투자기준)

    ※ 2019년 우리나라는 홍콩(797억 달러) 제외 시 싱가포르에 이어 중국의 제2위 투자 유입국

    ​(출처: 중국상무부, 실제 투자 기준, 금융업 제외)

    - 2019년까지 대중국 투자 누계액은 708억 달러(출처: 한국수출입은행, 실제 투자 기준)

    ※ 우리의 해외 투자 총 누계액의 13.7% 점유

    · 중국의 대 한국 투자(신고 기준)

    - 6.51억 달러(‘11년) → 7.3억 달러(’12년) → 4.8억 달러(‘13년) → 11.9억 달러(’14년) → 19.8억 달러(‘15년) → 20.5억 달러(’16년) → 8.1억 달러(‘17년) → 27.4억 달러(’18년) → 9.8억 달러(‘19년)

    - 2019년까지 투자 누계는 141.7억 달러

    ◎ 기업 진출 현황

    · 2019년 말 누계 기준 중국 진출 우리기업은 27,799개(출처: 한국수출입은행)

    - 중국의 환경 규제 강화, 임금 상승의 영향으로 중소기업 위주의 투자는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대규모, 고부가가치 투자 증가

    ※ 최근 10년간 규모별 투자 비중 추세(금액 기준)

    - 2009년(대기업 70.0%, 중소기업 30.0%) → 2019년(대기업 83.7%, 중소기업 16.3%)

    ※ 최근 고부가가치 투자 내용

    - 삼성디스플레이(쑤저우)(2013), LG디스플레이 8세대 LCD투자(광저우)(2017),

    ​ 삼성SDI 전기차배터리 공장(시안)(2015), SK화학 나프타 분해시설(우한)(2013) 등

    · KOTRA, 대한상공회의소, 무역협회 등이 중국 내 사무소를 설치, 기업 활동 지원중

    ※ KORTA(20): 광저우, 난징, 다롄, 베이징, 상하이, 샤면, 선양, 선전, 시안, 우한, 정저우, 창사, 장춘, 청두,

    충칭, 칭다오, 톈진, 하얼빈, 항저우, 홍콩

    ※ 대한상공회의소(45): 강음, 곤명, 광서, 광주, 남경, 남통, 단동, 대련, 덕주, 동관, 무석, 북경, 상주, 상해,

    서안, 소주, 승주, 심양, 심천, 안산, 양주, 연대, 연변, 연운항, 염성, 위해, 유방, 의오, 일조, 장가항, 장춘,

    정주, 제남, 중경, 진강, 진황도, 창주, 천진, 청도, 치박, 하문, 하얼빈, 항주, 혜주, 영구

    ※ 무역협회(3): 베이징, 상하이, 청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