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백린탄은 어떻게 계속해서 타들어가는 것인가요?

기사를 보니 러시아가 백린탄을 사용해서 국제적 비난을 받고 있다고 하더군요. 백린탄은 계속해서 타들어가기에 끄기가 쉽지 않다고 하던데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백린탄은 19세기에 페니언단 방화범들이 이황화 탄소 용액 형태로 최초로 사용했다. 이황화 탄소가 증발하면 백린이 발화하고 역시 불붙기 쉬운 이황화 탄소 증기가 폭발한다. 이 혼합 폭탄은 "페니언의 불"이라고 알려져 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백린은 인(P)의 동소체로 가연성이 크고 발화시 다량의 연기를 만들어 내는데 발화점이 60도로 낮은편이라 공기와 접촉하면 자연 발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차에 연막탄으로 삽입되는 것이죠. 포탄에 쓰이는 연막탄도 있습니다만.

      이 물건이 연기를 내는 원리가 바로 인(성냥 끝부분에 묻는 유황과 비슷한 물질)을 태울때 나오는 연기를 이용한 겁니다.

      그런데 이 인이 타다가 사람몸에 튀면 마치 화염방사기의 기름같이 계속 탄다고 하더군요.

      즉, 인이 사람몸을 파고든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차에 달려있는 연막탄은 약간의 살상효과가 있는거구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백린(P4)은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인해 약 30°C 의 온도에서 공기 중에서 자연 발화할 수 있는, 반응성이 높고 가연성이 높은 원소입니다. 백린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면 오산화인(P2O5)을 생성하고 다량의 열을 방출합니다.

      이 반응은 발열 반응으로 열을 발생시켜 백린의 온도를 더욱 높이고 산화 반응을 지속시킵니다. 백린이 공기 또는 기타 산화제와 접촉하는 경우 지속되는 반응으로 인해 소멸시키기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백린은 발화점이 낮기 때문에 스파크나 열원에 의해 쉽게 점화됩니다. 일단 점화되면 약 1200~1500°C 의 고온에서 연소하여 멀리서도 볼 수 있는 밝은 흰색 불꽃을 생성합니다.

      백린의 연소는 자체적으로 산소를 생성하고 산소가 충분하면 계속 연소하기 때문에 진압하기 어렵습니다.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이 물을 기화시키고 증기 폭발을 일으켜 화재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은 일반적으로 백린 화재를 진압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백린 연소를 중단시키려면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온도를 발화점 이하로 낮춰야 합니다. 불타는 백린을 모래, 흙 또는 기타 비산화 물질로 덮거나 중탄산나트륨과 같은 건조 분말이 들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