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일 신생아 주먹반사 관련 문의드립니다.
자연분만으로 태어날때, 산도에 끼었었고 출산직후 10초 이내로 숨을 쉬지 않았었습니다.
이후 소아과 진료시 별다른 건강 이상 없다는 소견을 받았고, 90일 현재 6KG으로 잘먹고 잘 크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먹반사가 없었습니다. 손을 건드려도 주먹반사가 없었고, 주먹을 쥘때도 있었고, 펴고 있을때도 있었습니다.
90일 현재는 주먹을 잘쥐기는 하지만, 왼손과 오른손의 주먹쥐는 손아귀힘일 다르고,
물건을 손에 쥐어주면 잘 잡고 있으나, 지속시간은 그리 길지 않습니다.
또한 호기심있는 물건을 보여주면 시선으로는 잘 보지만, 손을 이용해서 잡거나 하지 않고, 주먹을 쥔채
터치만 하는 상황입니다.
시각발달이 빨라서 소아과 진료시 평균적이 아이들이 30센티 볼때 1-2미터의 물체를 멀리까지 보이는것 같다고 할정도로 시각발달이 좋았습니다.
혹여나, 자폐관련된 문제는 아닐지 고민이 됩니다 시각추구 감각이상?의 경우가 있던데,, 시각은 빠르게 발달하지만, 주먹반사가 없었던 부분과 물체를 잡는 행동을 잘못하고 양쪽 손아귀힘이 다른부분이 마음에 걸리는데,
관련 소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아기의 현재 상황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걱정하고 계신 점 이해합니다. 신생아의 주먹 반사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자연 분만 과정에서의 짧은 숨 멈춤이나 산도에 끼인 경험이 아기의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소아과 진료에서 특별한 건강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은 안심이 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아기가 90일이 되었을 때 양손 주먹 쥐기의 차이나 물건을 잡고 있는 시간의 차이, 호기심 있는 물건에 대한 반응 등이 고민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보통 아기는 생후 몇 달 동안 손가락을 쥐고 펴는 행동을 통해 신경계의 발달을 지속적으로 진행합니다. 왼손과 오른손의 손아귀 힘이 다른 것은 아직 근육 발달이 완전히 대칭적이지 않을 수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각 발달이 빨라 1-2미터 거리의 물체를 잘 본다는 점은 아기의 개별적인 발달 차이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흔히 관찰되는 부분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된 염려에 대해서는, 초기 유아기에 이러한 특성을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다른 행동이나 발달 지표 등을 종합하여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기가 특정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 능력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며, 이러한 발달 지표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지속적인 관찰과 관심이 아이의 건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을 보이는지, 특정 행동이나 반응이 계속 우려가 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자분의 세심한 관심은 아기의 건강하고 균형 잡힌 성장을 지원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우선, 주먹반사는 일반적으로 생후 첫 2-3개월 동안 나타나며, 신경학적으로 발달한 아기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반사입니다. 그러나 주먹반사가 없어도 다른 발달 지표들이 정상적이라면 심각한 문제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기가 손을 쥐고 펼 때도 있고, 물건을 잡으려는 시도를 하는 것은 운동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아기의 손아귀 힘의 차이는 발달 과정에서 양쪽 손의 근육 발달 속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일 수 있어요. 일부 아기들은 한쪽 손의 힘이 다른 쪽보다 더 강하게 발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시각 발달이 빠르다는 점은 긍정적인 지표입니다. 아기가 시각적으로 물체를 잘 보고 주의를 기울인다면, 시각 발달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먹을 쥔 채로 물체를 터치하거나 물건을 잡는 시간이 짧다는 점은 아직 소근육 운동 발달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기들은 보통 3-4개월부터 손과 눈을 조정하여 물건을 정확하게 잡는 능력을 발달시키기 시작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와 관련된 우려가 있다면, 시각 추구 행동이나 손의 조작 능력의 부족과 같은 증상만으로는 자폐를 진단할 수 없습니다. 다만, 주의 깊게 관찰하시고 아기가 연령에 맞는 발달적 행동을 보이지 않거나 추가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가 있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발달 검사 및 상담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