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1305852
1305852

미국 국채 투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미국 국채 채권인 TLT를 매수했는데 보유한지 1년이 넘었는데 박스권만 왔다갔다 하고 아직도 손실이네요 ㅠㅠ 배당금은 매월 들어오고 있는데 이거 팔아버리고 미국 주식을 사는게 훨씬 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국채 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자가 매달 들어오고 계시다면

    국채란 만기가 되면 손실은 면하실 수 있으니

    조금 더 들고 있으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10년이상 장기채권은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1년정도는 미국의 금리인하를 압박하여 어느정도 가격 상승은 있을수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정부의 정책이 감세와 그리고 장기채권 발행을 늘리려고 하고 있고 이로인해 금리가 다시오르고 장기채권이 많아져서 하락률이 더심해질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TLT는 최근 1년간 수익률이 거의 제자리거나 소폭 손실 상태이며, 매월 약 4~5%대의 배당수익이 있지만 금리 변동에 따라 가격이 크게 움직이지 못했습니다. 미국 주식은 장기적으로 더 높은 성장성과 자본이득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변동성도 큽니다. 안정적인 배당과 원금 보전을 원하면 TLT를, 더 높은 수익과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다면 미국 주식으로 교체하는 것도 선택지입니다.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국채는 금리가 떨어져야 시세가 오른는 ETF인데 수년째

      미국 금리는 고금리를 여전히 유지해오고 있기 때문에 시세가 상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이제 정말 조금만 더 버티면 상승할 수 있는 시간을 목전에 두고 있는 만큼 개인적으로는

      좀 더 보유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그 이유는 하반기에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예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국채 ETF인 TLT의 경우 장기 금리가 하락 시 수익이 나는 구조 입니다. 현재처럼 금리 인하 기대는 있지만 확실 치 않은 국면에서는 박스권 흐름이 계속 될 수 있다고 봅니다. 매 월 배당은 안정적이지만 자본 이득은 느리게 회복 될 수 있스비다. 만약 시장 상승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면 성장주나 배당 우량주로 일부 리밸런싱도 생각 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 인하 본격화 시 TLT 반등 여지도 있다고 보기에 전량 매도 보다는 분할 전략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국채, 특히 TLT와 같은 장기 국채 ETF는 금리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오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TLT가 박스권에 머물거나 손실을 보인 것은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합니다. 2022년 이후 지속된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상했습니다. 이는 채권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시장에서는 Fed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기도 했지만, 실제 금리 인하시기가 계속 지연되면서 채권 시장이 큰 움직임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견고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TLT 같은 장기채 ETF는 금리 인하 기대 시 유리하며 금리 상승시에는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당은 있지만 주식 대비 수익 변동성이 크고 회복기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다만, 금리 정점 통과 후라면 서서비 분할 매수 전략도 고려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TLT는 20년 이상 미국 국채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장기 국채의 경우 금리 하락시 가격 상승하나 금리 인하 기대가 선반영되거나 지연되는 등의 박스권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정부의 대규모 국채 발행으로 채권 가격 하락 압력이 있으며 재정 적자 확대 상황입니다. 다만 금리 인하시 채권 가격 상승의 가능성이 아직은 있으며 안정적인 배당금이 나와 현금 흐름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동성 리스크가 큰 주식시장에 꼭 접근하는게 맞을지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투자라는게 원래 기대수익률이 높지는 않습니다 TLT 는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건데요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금리가 많이 내려가야 수익률이 높아지는데 일단 9월이나 10월정도에 미국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이 매우 높은 상황이니 그때까지 상황을 좀 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미국 연준은 올해 9월이나 10월에 1회인하 그리고 12월에 인하해서 올해 총 2번의 인하를 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니 급한 돈 아니면 그냥 가을까지는 좀 지켜보는게 좋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