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국 고용지표가 좋으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 건가요?
최근에 미국 고용이 좋게 나오고 있더군요.
근데 저는 고용이 좋으면 다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고용이 좋으면 금리를 내릴 명분이 없어진다고 하더군요.
금리랑 고용이 어떤 연관이 있어서 왜 미국 고용지표가 좋으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 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용지표가 좋고 그리고 경제성장지표가 좋게 나온다는것은 현재 수요가 탄탄하고 성장율이 높다는 말입니다 이말은 수요가 살아있고 물가잠재상승률이 높다는 결론입니다
이말은 금리 인하가 어려운 환경이며 왜냐하면 여기서 금리를 더 인하하게 될경우 통화량이 풀리게 되고 통화량이 풀리는만큼 시장에서 물가가 더 상승하게 되는 기폭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기지표가 좋게 나오게 되면 기준금리 인하는 어려운환경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고용지표가 좋다는 것은 일자리와 임금이 늘어나 소비와 경제활동이 활발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럴 때 금리를 인하하면 돈이 더 많이 풀려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집니다. 연준은 물가 안정을 위해 고용이 강할 때는 금리 인하를 미루거나 신중하게 접근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마귝 고용지표가 좋으면 경기과열과 물가 상승 압력을 우려해 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줄어들기 떄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고용지표가 좋아지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고용지표가 좋다는 것은 결국 내수 경기가 좋다는 것으로 보여지며
금리 인하는 어려운 내수 경기 부양에 사용되는 정책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반대로 기준 금리를 내리기 어려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고용지표가 좋다는 것은 경제 활성화가 되고 있으며 금이 인하 명분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고용지표가 좋을때 보통은 경제 성장세가 지속되고 소비 심리 개선으로 물가 상승이 된다고 봅니다.
인플레이션우려는 결국 금리인하 동결로 가거나 오히려 금리 인상을 하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용지표가 좋다는 건 경제가 여전히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신호라서, 미 연준이 금리를 내릴 필요성이 줄어들게 돼요.
특히 고용이 강하면 소비가 늘고, 소비가 늘면 물가가 다시 오를 수 있기 때문에 물가 안정이 우선인 연준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를 망설이게 돼요.
즉, 고용이 좋다는 건 경기 둔화 우려가 덜하다는 의미라서, 연준이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명분이 약해지는 거예요.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용지표가 좋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에서 투자도 잘하고 소비도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굳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릴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고용이 안좋다는 것은 경기가 침체되었다는 신호이고, 연준에서는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인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