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비빔밥도 11000원 시대라고 합니다. 왜 이렇게 물가가 많이 올랐을까요.
이제 돌솥 비빔밥 가격 11000원이 된다고 합니다. 왜 이렇게 물가가 많이 올라갈까요?물가가 무섭네요. 제 월급은 오르지도 않는데 물가는 계속 오릅니다. 올 1월에 비빔밥 만원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벌써 10 프로가 올랐다고 합니다. 왜 이렇게 물가가 계속 오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크게 상승한 원인은 코로나시기에 돈을 풀었고 저금리를 오랜기간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그 여파로 물가가 크게 상승한 것이고 물가의 특성상 다시 하락하긴 어렵습니다
올해 우리나라는 물가의 상승보다 임금 상승이 적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소득이 줄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금리를 유지하면서 물가의 상승 속도는 막았지만 앞으로도 물가는 꾸준히 상승하게 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돈을 현금으로 보유하지말고 굴리라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식재료 가격이 많이 올랐고, 외식업체도 운영비 부담이 커지면서 가격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물가가 오른게 저도 느껴지더라구요. 이럴때일수록 소비에대한 계획등 지혜필요할 때인듯 보여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평균적으로 물가는 2.5%~3%씩 꾸준히 올라가게됩니다.
그러나 코로나로 부양정책을 펼치면서 막대한 돈을 풀었고 그로인해 한국의 경우 6%정도의 인플레이션이 올랐습니다.
이것은 3년치가 미리 올랐다고 보시면 되는데
이것이 다시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6%에서 2%증가율로 정상화된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느끼기에는 월급 대비 너무 올랐다고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정상화되어 우리가 비싸다고 느껴지지 않을려면 현재 한국 성장률을 고려한다면
최소 3년~5년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월급 빼고 다 오르는게 맞긴 한거 같습니다 일단 요즘 비빔밥의 원재료인 채소 가격이 여름 폭염으로 엄청나게 올랐으니 비빔밥가격 인상도 어쩔수 없겠죠 요식업이 임대료에 인건비 상승에 재료비 상승까지 싹다 올라가는데 장사는 안되는 자영업자들도 죽을맛일거 같습니다 저도 그냥 오늘도 치킨값이라도 벌어볼라고 앱테크라도 열심히 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개인 사업자고 판매자입니다 돌솥비빔밥을 실제 만드는 가격은 11,000원 정도까지는 올라가지 않는데요 그렇게 내놓아도 사람들이 사 먹으면 판매자 입장에서는 그 가격을 고수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저소득자는 못 사 먹고 부유한 사람들은 아무렇지 않게 사 먹습니다 그렇게 가격이 상향되어 가는 겁니다 우리나라 소득 격차 그리고 자산격차는 매우 많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어떤 것보다도 우리 부유층들이 소비를 많이 하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니까 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물가가 안 떨어지는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비빔밥도 11,000원으로 이렇게 물가가 빠르게 오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물가가 정말 너무 올랐습니다.
폭염도 식재료 물가에 너무 영향을 미치고 있고
원화 가치도 빠르게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시기에 엄청나게 공급된 통화량과 더불어서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농작물의 전반적인 가격이
비싸진 등 이에 따라서 식품 물가도 상당히
오른 것이니 참고하세요.
경제가 발전하고 성장하면 점점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 정상입니다
현재가 발전하면 점점 사람들의 임금이 올라가고 임금이 올라가면 쓸 거면 생산 비용에 올라가게 되는 물건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경제 불안정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물류비용 증가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식품 원료의 가격이 오르면서 외식업체들도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또한, 인건비 상승도 물가 상승의 한 요인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이나 노동시장 변화로 인해 인건비가 높아지면, 그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음식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이는 외식뿐만 아니라 여러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이와 함께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서 각종 생필품과 외식 비용 역시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월급은 일정하지만 생활비는 계속 오르기 때문에, 체감하는 경제적 부담은 더 커지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농산물,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들의 생산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여 가격이 올라갑니다.
또한 임금인상의 원인도 물가상승률의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공급망 문제, 원자재 가격 상승, 그리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주요 원인입니다.
또한, 정부의 통화 정책과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도 물가 상승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소비자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빔밥 가격이 오른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특히 농산물과 기본 재료 가격이 크게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식용유, 간장, 참기름 같은 기초 재료의 가격이 오르면서 외식비가 함께 올랐습니다.
최근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 물가보다도 높아지며 영향을 줬습니다. 물가는 여러 요인으로 계속 오르고 있지만 월급이 오르지 않아 생활이 더 힘들어지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물가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은 중동지역의 불안 정세로 인한 석유가 요동, 폭염으로 인한 채소와 과일 값 폭등이 주요했습니다. 때문에 물가 상승 후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