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AI 활용률이 70%라는데 구역 현장에도 체감이 있나무
산업 AI 활용률이 높다는데 실제 무역이나 물류 현장에서는 체감이 잘 안되네요. 기사만 보면 대단한데 현업에서 일하는 분들이 느끼실 진짜 변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현장에서 체감되는 부분을 얘기하면 조금 다릅니다. 기사에서는 산업 전반의 AI 활용률을 강조하지만 무역이나 물류 실무에서는 아직 균일하게 퍼진 단계는 아닙니다. 선사나 포워더 쪽은 선적 스케줄 자동화 시스템이나 적하목록 오류 탐지 같은 부분에 AI가 들어와서 편해진 게 보입니다. 반대로 통관 단계에서는 여전히 수작업 비중이 크고 AI 도입은 시범사업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기사에서 말하는 70퍼센트라는 수치가 곧바로 우리 업무의 변화를 의미하진 않고 특정 구간에서 먼저 쓰이고 있는 정도라 보는 게 맞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산업 AI 활용률이 70%까지 높이는 것은 아직 목표치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AI시대는 이미 열렸으며 무역현장에서도 자동화나 예측관리 등의 시스템을 도입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부분은 대기업들 위주로 먼저 시행될 것이고 중소기업들도 이에 대한 활용을 지속저긍로 발전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결국 미래에는 더욱 광범위한 현장 체감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는 공식화하여 쓰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산업마다 실무자들이 재각각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듯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두산에서도 이러한 팔란티어 AI를 도입하였고 삼성도 이를 도입한다고 하기에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때 AI의 활용도는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산업 AI 활용률이 70%라고 하지만 현장에서 체감되는 건 업종이나 기업 규모에 따라 편차가 큽니다. 대형 물류기업은 화물 추적, 통관 서류 자동화, 수요 예측 같은 데 AI를 적극 도입해 효율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중소업체나 일반 무역 현장에서는 아직 사람이 손으로 처리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기사만 보면 엄청 진전된 것 같아도 실제로는 일부 선도 기업 중심이고, 전체 산업으로 보면 체감도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