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관련 용어중에 '베타'란 말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천연자원기업 엑슨모빌 등에 투자하는 건 주식시장의 체계적 위험과 기타 운영위험 등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어, 실물자산 가격대비 낮은 베타를 보인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베타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내용은 '배타계수'를 이야기 주시는 것으로 보이며, 배타값은 개별주식 수익률과 시장 수익률을 회귀 분석을 통해서 계산하하여 산출하는 값으로써, 개별주식의 수익률이 시장수익률의 변동성에 대비하여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베타값이0.5라고 한다면 시장수익률은 2%가 상승하였을 때, 개별주식은 1%만 상승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며, 만약 베타값이 2라고 한다면 시장수익률은 2% 상승할 때 개별주식은 4%의 상승을 했다는 것을 나타내게 됩니다.
베타값이 1보다 높은 주식은 시장의 변동성보다 변동성이 높은 주식으로서 보다 공격적인 포트폴리오에 부합하는 주식이며, 반대로 베타값이 1보다 낮은 주식으로 시장대비 방어적인 주식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타(Beta)는 주식의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보통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수인 S&P 500 지수를 기준으로 비교합니다.
주식의 베타 값이 1이면 시장과 같은 변동성을 보이며, 베타 값이 1보다 작으면 시장의 변동성보다 작은 것이고, 1보다 크면 시장의 변동성보다 큰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베타가 1.5인 주식은 시장의 변동성보다 50% 더 큰 변동성을 보입니다.
즉, 베타 값이 높을수록 주식의 가격 변동성이 크고, 위험이 높아지지만, 수익률이 높아질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베타 값을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베타(Beta)는 투자자산의 가격변동률이 일반적인 시장의 가격변동률과 상대적으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보통 주식 등의 금융 자산은 주식시장의 변동성과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베타가 1보다 높게 나타납니다. 반면에 실물자산이나 채권 등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변동성과 큰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베타가 1보다 낮게 나타납니다.
즉, 엑슨모빌 등의 천연자원 기업은 주식시장의 변동성과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주식시장의 체계적 위험과 운영위험 등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물자산 가격대비 낮은 베타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주식시장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동시에 주식시장과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투자 위험성도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타(beta)는 자산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주식의 경우,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기준으로 한 베타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베타가 1.0인 주식은 시장과 같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베타가 0.5인 주식은 시장 변동성의 절반만큼 변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베타가 1보다 크면 주식은 시장보다 더 높은 변동성을 가지며, 베타가 1보다 작으면 시장보다 더 낮은 변동성을 가집니다.
실물자산은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베타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가격은 경기변동과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주식 시장의 변동성과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천연자원 기업 등의 실물자산 관련 기업은 일반적으로 베타가 낮다고 평가됩니다.
하지만,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실물자산은 운영 위험 등의 여러가지 위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는 이러한 위험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