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디스맨-Q847
디스맨-Q847

조직스토킹 당하는 꿈을 꿨습니다...

나이
1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안녕하세요?

제가 방금 조직스토킹 피해를 입는 꿈을 꿨습니다. 수법이 너무나 창의적이면서도 현실성있고 잔인했습니다.

그런데 꿈에서 깨고 나니 안도와 함께 걱정이 들었습니다.

제가 예전에 꿈과 현실을 살짝 혼동했던적이 몇번 있었습니다. 만약 오늘의 이런 악몽을 현실과 혼동한다면 큰일 날 것 같습니다.

인터넷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조직스토킹 피해를 호소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정신질환으로 환청 및 환시를 보는 것이라고 이해했었는데요. 혹시 이 사람들도 언젠가 꿈을 꿔서 현실과 혼동한 것은 아닐까요? 환자분들중에 꿈으로 시작하신 분들도 있나요?

이와 같은 조현병 등을 예방하는 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악몽을 꾸신 후 걱정이 커지셨군요. 꿈은 말 그대로 꿈일 뿐, 현실에서의 문제를 일으키지는 못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당장 조현병과 같은 질환을 걱정하시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다만 악몽을 너무 자주 꾸는 경우에는 수면의 질이 저하되어 일과 중의 피로감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그러한 상황이라면 깊은 잠을 주무시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앞서 질문에 답변을 드셨습니다.

    조현병을 예방하는 방법이 뚜렷히 존재하지는 않습니다만 조현병 환자가 환청이나 혼동을 경험할때 대처할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환자가 환청을 경험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먼저 "네가 지금 듣는 소리가 뭔지 말해봐."와 같이 구체적으로 환청에 관해 물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특이한 행동에 대해 비난하거나 따지는 대신 "너의 행동이 지금 상식적이지 않아."라고 말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합니다. 또한, 음악을 듣거나 TV를 보는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응급 상황이라면 약을 추가로 복용하도록 하거나 주치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비웃거나 조롱하는 어조나, 설득하거나 위협하는 말투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